경락 학설
12 정경 ; 내속 장부의 외연 지절
12 경별 : 경맥에서 분출하여 다시 경맥으로 합침
기경팔맥 : 12 정경과는 별도로 기행하는 경맥의 분지
15 락맥 : 주된 낙맥 Collaterals
락맥 : 경맥 혹 락맥에서 분출된 횡사행 분지
손락 : 락맥의 세소한 분지
부락 : 체보에 부현하는 낙맥 ex) 혈낙= 피하 혈관
장부 : 경맥 및 일부 락맥과 연속됨
12 경근 : 체표에 분포하고 장부에는 不入 Muscle regions
12 피부 : 피부 상의 경락의 분포영역 Cutaneous regions
경락의 작용
1. 기혈운행과 음양의 협조, 인체의 자양
2. 병사에 항거, 인체의 이상진후를 반영
3. 감응의 전도와 허실의 조절
다기다혈 : 양명경
다기소혈 : 태음경, 소음경, 소양경
소기다혈 : 태양경, 궐음경
경經기(진眞기) = 영기 + 위기 + 종기 +원기
1. 영기 : 비위의 수곡정미로 부터 화생혈액의 화생
혈액과 함께 혈맥,경맥을 순행(인체를 자양)
2. 위기 : 비위의 수곡정미로 부터 화생
경맥을 순행, 체표에 확산 신-심-폐-간-비-> 신
3. 종기 : 수곡정미와 청기가 폐에서 결합되어 생성
후천지기, 흉중에 집적, 추진력이 강하여 관통심맥
4. 원기 : 선천지정에서 화생, 후천지정으로 보충, 신장에 저장
신정 : 인체의 생명활동의 물질적 기초
신기 : 인체의 생명활동의 기능적 기초
입뇌하는경 : 방광경, 독맥, 양교맥, 음교맥
정명을 교회 : 위경, 소장경, 방광경, 양교맥, 음교맥
목외자 교회 : 소장경, 삼초경, 담경
목계에 이르는 경 : 심경, 간경, 임맥, (위경별)
이전에 교회 : 삼초, 위, 담
이중에 교회 : 삼초, 소, 담
이후에 교회 : 삼초, 담, 양교, 양유
환요구순 : 간, 위, 대장, 충맥, 임맥, 독맥
설에서 교회 : 비경, 신경, (간=후롱, 심=낙맥)
식도에 교회 : 소장, 비장, 심장 (위X)
결분에 교횐 : 방광 제외 모든 양경, 음교맥
상완을 교회 : 위경, 소장경
중완을 교회 : 위경, 소장경, 삼초경
하완을 교회 : 비경
환도를 교회 : 방광경, 담경
음무부 교회 : 간경, 담경, 임맥
생식기 교회 : 간경, 충맥, 임맥, 독맥, 음교맥
신경이 교회 하는 장부 : 신, 간, 폐, 심 (비X)
괴와를 교회 : 신경, 방광경
임맥의 교회경 : 위경, 독맥 (승읍, 은교)
독맥의 교회경 : 방광경, 임맥 (풍문, 정명, 회음)
충맥의 교회경 : 위경, 신경, 임맥
대맥의 교회경 : 담경
양교맥의 교회경 : 대장경, 위경, 소장경, 방광경, 담겸, 독맥
음교맥의 교회경 : 방광경, 신경
양유맥의 교회경 : 위경, 소장경, 방광경, 삼초경, 담경, 독맥
음유맥의 교회경 : 간경, 신경, 비경, 임맥
척추로 입하는 경 : 신경 충맥, 임맥, 독맥 (방광경=협척주)
교회경, 교회혈이 없는 경맥 : 폐경, 심경, 심포경
12경근이 결하는 부위
족삼양경근 : 안부
족삼음경근 : 음기
수삼양경근 : 액각
수삼음경근 : 흉격
엄지 : C6 엄지발가락 : L4
23지 : C7 234지, 뒤꿈치 : L5
45지 : C8 5지 : S1
흉쇄유돌근 전연 : 천용(SI17), 인영(S9), 수돌(S10)
흉쇄유돌근 : 부돌(LI18), 기사(S11)
흉쇄유돌근 후연 : 천유(SJ16), 천창(SI16), 천정(LI17)
후두융기 관련혈
염천(REN23) - 1.5 인영 (S9) - 3.0 부돌 (LI 18) - 3.5 천창 (SI16)
이전 3혈 자침법 (CAM)
이문(SJ21) : 직자 .3-.5
청궁(SI19) : 직자 .5-1.0
청회(GB2) : 직자 .5-.7
이후 연장선상 경혈
예풍(SJ17) - 1.0 예명 - 안면 - 풍지(GB20) - 풍부(DU16)
전발제 0.5 선상의 경혈
신정(REN24) - 미충(B3) - 1.5 곡차(B4) - 두임읍 (GB15) - 3.0 본신(GB13) - 4.5 두유(S8)
액중선상의 경혈
극천(H1) - 3.0 연액(GB22) - 6.0 대포(SP21) - 12.0 장문(Liv13) - 대맥(GB26)
제하 5촌 상평 경혈
곡골(REN2) - 0.5 횡골(K11) - 2.0 기충(S30) - 3.5 충문(SP12)
위관하수 (Ext) 혈위 : T8 방 1.5
자침의 보법
제삽 : 제시 가볍게 속도 느리게, 삽시 무겁게 속도 빠르게
엽전 : 좌전위보, 폭작게 느리게
서질 : 진침은 느리게 출침은 빠르게
개합 : 빨리 출침하고 침공을 폐
영수 : 순경락 방향으로 자침
호흡 : 환자가 호시기 진침, 흡기시 출칠
구륙수 : 동작이 9의 배수(양수)
십이시 : 해당시를 지나서 자침, 母혈을 취함
간접구의 분류
격강구 : 비위허약의 복통설사, 관절통, 양허증, 일반 허한증
격산구 : 나력, 폐결핵, 복중적괴, 창양초기, 독충교상
격염구 : 대한의 망양증 (회양구역), 토사 급성복통, 요제통, 구리
격부자구 : 허성의 완고성 음한증 (온양거한), 명문화쇠의 양위 조설, 피부궤양, 화농
격호초구 : 풍습비통, 류마티스 통, 국소마비
격황토구 : 국한석 습진, 배부의 정저초기
두침의 분구
전후정중선 : 인당 Glabella - 외후두융기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미후두선 : 눈썹의 중점 상연 - 외후두융기
운동구 : 전후정중선 중앙에서 0.5 cm 후방 - 눈썹후두선과 빈점의 교점
감각구 : 운동구 평행 후방 1.5 cm
무도진전제어구 : 운동구 평행 전방 1.5 cm
혈관 운동구 : 무도진전제어구 평행 전방 1.5 cm
하지 : 본구의 상 ⅕
상지 : 본구의 중 ⅖
안면 : 본구의 하 ⅖
침구치료의 조절음양
1. 음양의 편성
2. 음양의 편쇠
3. 음양구허
오수혈의 주치
정 : 심하만, 치구급
형 : 신열, 치 발열
수 : 체중절통, 치풍습비통
경 : 천해한열, 치호흡기 질환(인후부병증)
합 : 역기이설, 치만성병 (장위, 육부병증)
기경팔맥의 극혈
양교맥 : 부양(B59) 음교맥 : 교신(K8) 양유맥 : 양교(GB35) 음유맥 : 축빈(K9)
4해경혈
기해 : 전중
혈해 : 충맥
수곡해 : 위
수해 : 뇌
천창 10혈
천주, 천지, 천돌, 천부, 천창, 천유, 천용, 인영, 풍부, 부돌
전광 13혈
수구, 소상, 은백, 대릉, 신맥, 풍부, 협거, 승장, 노궁, 상성, 회음, 곡지, 설하중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