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ifornia acupuncture board summary

입법의 목적
가주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위원회 7인 (임기 4년)
3 acupuncturists 경력 5년 이상
4 public members
주지사 지정 3 acupuncturists, 2 public members 

보수교육 
2년 50 시간 
13-16 35 시간
17-20 40 시간
21-23 45 시간
보수교육 증서는 최소 4년 보관 (random audit)

면허 등록
취득한지 30일이내에 등록, 진료소에 전시, 장소 바뀌면 30일 이내에 등록

면허 갱신
2년 기간중 두번째 해의 생일이 있는 달의 마지막날
3년 이내 미납비용과 보수교육 이수자 갱신가능
3년 이상 필기시험 재응시 필요

해지 단계
환자에게 서면으로 알릴 것 (환자와의 관계 해지를 설명)
다른 의사에게 치료 받을 때까지 일정 시간동은 치료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새로운 의사 볼수 있도록, 환자의 기록을 이전을 돕는다.

의료윤리의 원칙
1. 환자의 자율권 2. 악행금지 3. 선행의 원칙 4. 정의의 원칙

의료 기록
의료기관에 속함, 그 내용은 환자의 소유권이 있음.
최후 방문일 이후 최소 7년 보존, 18세 미만의 경우 18세까지 또는 7년 중 최대치로 보존.


출처 : California acupucture board
           Clean Needle Technique Manual for Acupuncturists(Korean 6th Edition)

의약론 의사의 자질 8분류

1. 심의 心 : 환자로 하여금 마음을 항상 편하게 하는 인격을 지닌 인물로 병자에 대하여 진실로 긍휼히 여기는 마음가짐이 있는 의사.
2. 식의 食 : 환자를 인간적으로 온전히 보지 못하고 병명만 기억하고 약을 지어 먹이는 자.
3. 약의 藥 : 환자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부우의 약만 먹여 차도를 기다리는 자.
4. 혼의 昏 : 환자가 위태함을 당하면 의원이 먼저 당황하여 자신이 먼저 실성하여 적당한 조치를 하지 못하는 자.
5. 광의 狂 : 병자의 고통을 호소하는 것만으로 매운약을 함부로 지어먹이는 자.
6. 망의 妄 : 목숨을 건질 약도 없는 불치병에 걸린 환자에게 의원의 속직함만 앞세워 병세와 상황을 본인에게 알려 환자가 겁게 질려 떨다가 목숨을 일찍 잃게 만드는 의원.
7. 사의 詐 : 마음 속으로는 의원이 되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의술을 닦지 않고 의술을 잘못 시행하여 환자를 곤경한 지경으로 몰고가는 돌팔이 의원.
8. 살의 殺 : 조금 총명한 점은 있으나 스스로 자만하여, 병자를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이 없는 자, 자신의 의술만 자랑 할 뿐 거만과 거드름 속에 사람과 신을 소홀히 여겨 미혹한 일을 많이 범하는 사람

간기울결 Liver Qi stagnation vs 간양상항 Hyperactive Ascension of Liver Yang

간기울결

원인 :
Anger, Steress, Body vacuity, Yin vacuity, Yang vacuity

증상 :
Easy anger, Rib side distention, Big breath(Sighing), Premenstrual tension(breat distention)

치법 :
Course the Liver, Rectify the Qi


간양상항

원인 :
Yin/Blood vacuity not anchoring Liver Yang

증상 :
Strong anger, Shouting, Dizziness/Vertigo, Tinnitus/Deafness, Flushing of the face, Red eyes, Visual disturbances, Dry mouse/throat, Palpitation

치법 :
Enrich Yin, Subdue Liver Yang

消斑液 (소반액)


개발 외용약: 消斑液 (소반액)

  • 용도: 원형탈모(반독) / 유풍 치료제
  • 해당질환의 원인; 원인불명, 스트레스, 자가면역, 유전
    - 한의학적 관점; 간신휴허, 음혈부족, 어조경락, 혈허기허, 혈고

    Rx) 신응양진단, 통규활혈탕
    - 양의학적 관점 : 원형탈모[ AA: Alopecia Areata , 圓形脫毛 ]

Rx)미녹시딜 : 고혈압 치료제 부작용으로 개발 (혈관확장 혈액순환 개선)
  • 구성
    군 : 적하수오, 부평, 측백엽, 상백피 신 : 사물, 인삼, 구기자
    좌 : 고삼, 생강, 흑두
    사 : 감초, 노회, 녹차엽, 레몬그라스

  • 효능
    사물탕 + 적하수오 : 보간혈
    적하수오+ 측백엽+ 상백피 : 생발
    인삼 + 구기자 : 보기, 강장, 강정
    고삼 : 조습살충
    부평 : 소종해독 Ex)피부소양증의 부평산- 부평, 당귀, 천궁, 적작약, 형개수, 마황, 감초 노회 : 살충제감, 청간화
    생강 : 발한해표, 해독 / 생강피 :이수소종
    흑두 : 거풍해독
    레몬그라스: 방향, 탈모예방, 세포재생
    *계자황 : 탈모증에 효과적이나 보관상 이유로 제외

  • 추출용량
    1.8L 증류수로 전탕하여 약 200 mL 추출

  • 특이사항
    후하 : 생노회, 녹차엽, 레몬 그라스(박하 또는 라벤더 아로마 에센스로 대용가능) 생부평: 알코올 팅크쳐

  • 치료예
    환부의 MTS(Micro-needle Therapy System) 시술 (0.25mm or 0.5mm) 

ARRT MRI SUMMARY


Thermal equilibrium-열평형상태란 전체적인 magnetic moment 변화가 없는 상태BO(F:rBo)-외부자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호로서main magnetic field 또는static field
Equilibrium(rest) magnetization-평형자화
Gauss(G)-자속밀도의 단위로서 1T 10000 G, Tesla (T)-테슬라는 자속밀도의 SI단위이다.
Precession-원자핵이 자장에 노출되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회전하게 되는 세차운동 
Gyromagnetic ratio-입자계의 운동에 대한 자기 모멘트의비 γ 표시한다(F=γBo)
Faraday's law-파라데이법칙(전자유도현상
Coherence(phase coherence, in phase)-90°pulse 인가한 직후에는 net magnetization XY 평면상에 360°회전하게 되는데 원자핵들은 회전속도와 위상이 모두 같아 coherence.
Proton-양자, 양성자, 프로톤 Electron- 음으로 하전된 소립자(입자)로서 음전자
Proton density weighted image(PDWI)-프로톤 밀도강조영상 . 
Magnetic domain-원자들의 자기 모멘트 방향이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 국소영영을 자기구역
Homogeneity coefficient-주자장의 균일성의 정도Inhomogeneity-균일성의 상실 상태
Lamor frequency-자기공명이 유도되는 주파수로서 Lamor 방정식에서 F=rBo 표현되며 수소원자핵(양자)에서는 F=42.6MHZ/T 이다.
Zeugmatography-자기공명영상은 자장과 RF 결합에 의한 영상기법이란 MRI 다른 명칭
Magnetic susceptibility-물질이 자화되는 능력으로서 자화율(자기감수성)
Magnetization-자성체의 분극에 의해 생긴 단위체적당 자기모멘트로서 물질의 자기극성화
Diamagnetic material-자력선에 약하게 반발하는 물질로서 수은, 구리 등이 있다.
Paramagnetic-자력선에 약하게 이끌리는 상자성 물질로서 Gd 등이 있다
Dephasing :in-phase 상태의 원자핵들이 위상응집상태를 상실한 것으로서 탈위상이라 하며 신호의 급격한 감쇄를 가져온다.
Echo-자유유도감쇄(free induction decay) 후에 얻어지는 자기공명 영상신호(MR signal)
FID(free induction decay)-NMR 현상의 이완(relaxation)과정에서 원자핵들이 dephasing 될수록 방출되는 신호가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를 자유유도감쇄라 한다
Averaging(NAV, NEX, NSA)-최적의 SN 비를 얻기 위한 신호의 n 가산을 말한다
Number of signal averaging(NSA)-number of excitation(NEX)으로서 신호가산평균을 의미하며 같은 signal data 반복하는 것이다
Acquisition time(scan time)-자기공명영상의 신호획득시간으로서 TR×AVG(NEX)×phase encoding(matrix No.)으로 정의된다.
Image reconstruction time-영상재구성시간으로서 signal 획득후 화면에 나타나기까지의 시간  
Slice thickness-영상화 하고자하는 관심부위와 단면두께로서 절편두께를 말하며 얇은 절편은 해상력을 증가시키나 SNR 저하된다.
Field of view(FOV)-영상화 과정에서 관심영역이 나타나는 구역의 크기로서 FOV 작으면 해상력은 증가하나 SNR 감소된다.
POMP(phase offset multiplanar)-신속영상화기법(rapid imaging) 하나로서 한번의 RF 의해 두개의 절편이 여기되는  
EPI(echo planar imaging)-고속으로 경사자장을 진동시켜1회의 PF pulse 얻는 영상기법
Functional imaging-기능영상이란 대뇌피질의 고유한 기능변화를 영상화하는 것으로EPI기법
Perfusion-관류란 모세혈관의 미세한 순환을 의미하며 최근 IVIM(intra voxel incoherent motion) imaging 기법에 의해 영상화 한다  
Diffusion(diffusion weighted image)-분자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물질분자가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 영상기법으로서 강력한 경사자장이 요구된다. 확산강조영상은 현재 급성뇌경색 등에 응용된다.
Cine-MRI(cine imaging)-multi slice 심전도 동기(ECG-gated) imaging 고속으로 (1~32flame/sec) 반복 표현하는 영상기법
ECG(electrocardiogram)gated image-심전도파형과 동기하여 수집하는 심전도동기 MRI 


Aliasing(aliasing artifact)-FOV 밖의 영역이 영상반대쪽으로 영상화되는 현상으로서 wrap around artifact 설명되며 주로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발생한다
Cross-talk(cross excitation)-multiple slice 영상기법에서 절편사이의 RF 간섭으로 인한 영상의 왜곡으로서 선택 절편과 함께 주변 절편의 신호가 수집되어 생기는 인공물
Black boundary artifact(out of phase artifact)-지방(fat) 사이 또는 근육과 지방 사이에 신호가 소실(signal void) 되는 현상
Zebra stripe artifact- MR artifact로서 gradient power supply 불안정성으로 발생한다.
Eddy currents-gradient 전력공급에서 전류의 pulse 그친 뒤에 남아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자기(magnetic) gradient이며 이로서 자기공명영상에 인공물을 발생시킬 있다.
Interslice gap-cross talk artifact 줄이기 위한 slice thickness 간의 간격으로서 10~20% Slice gap-절편과 절편사이에 10~20% 정도 간격을 두고 scan 하는
Partial volume effect-절편의 변연에서 발생되는 artifact 일종으로서 부분용적 효과
Chemical shift-Lamor 주파수의 이동을 의미하며 지방의 양자(proton) 물의 양자보다 3.5ppm 정도 낮은 주파수에서 공명한다
Signal to noise ratio(SNR, S/N ratio)-신호량(S) 잡음량(N) 상대적인 (ratio) 
Signal void-신호(signal) 없는 조직이나 기관을 말하며 무신호(signal void) 표현한다
CNR(C/N, contrast to noise ratio)-대조잡음비
Flow related enhancement(FRE)-MR angio기법의 TOF 방식에 이론적 근거가 되는 현상으로서 정지되어 있는 proton 비해 이동하는 proton 보다 많은 signal 내는 유속신호 증강효과
Wash out effect-유속신호 감소효과
Fourier transform (FT)-대부분의 영상기법에서 채택되고 있는 수학적 처리과정으로서 시간적 개념으로 입력된 정보는 후리어 변환을 통해 상함수(주파수영역) 위상으로 표현된다.
Half Fourier imaging-one sided image reconstruction
Gradient coil-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원하는 경사자장을 생성시키기 위한 코일로서 X-gradient, Y-gradient, Z-gradient 구성된다.
Gradient echo(GE)-spin echo(SE)에서 사용되는 90°pulse 180°pulse 사용하지 않고
TR TE 짧게하여 fast scan 있는 기법으로 flip angle 사용된다.
Gradient pulse amplifier-경사자장 신호증폭기 
Flip angle-자화 백터가 정자장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gradient echo 기법에서 사용된다
GRASS-gradient refocused acquisition in the steady state
K-space-영상을 만들 있는 raw data 집합을 의미하며 위치정보와 대조도 정보 함유
Central line-K공간(K-Space) 가운데선을 말하며 위상부호화 경사자장의 기울기가 적게입력
Phase encoding-위상의 부호화로서 위치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이며 위상부호화 경사자장(phase encoding gradient GP) 이용한다.
Lattice(lattice relaxation)-이완(relaxation) 과정에서 T2 이완을 거친 원자핵들은 자장방향으로 재배열하는데 spine들은 주위물질(lattice) 에너지를 전달한다.
Longitudinal relaxation-T2 이완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서T1 relaxation. 
MRS(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자기공명 분광법으로서 고자장 하에서 특정한 원자를 여기시키는 주파수를 발사하면 신호가 나오게 되는데 신호를 주파수 별로 분석
BBB(blood brain barrier)-혈뇌장벽(혈액뇌관문)으로서 중추신경계의 조영증강 작용의 기전
Brownian motion-액체나 기체 내에서 미립자가 매체의 미립자와 충돌하여 일으키는 운동 
Magnevist-화학명 Gd-DTPA(gadopentetate dimeglumine) MRI 조영제  
Omniscan-화학명 Gd-DTPA-BMA(gadodiamide) MRI 조영제
Gd-DTPA : gadolinum-DTPA, gadolinum-DOTA
Dotarem 화학명 Gd-DOTA(gadoterate meglumine) MRI 조영제
DTPA 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Dewar-질소나 액체헬륨 같은 냉매를 보관하는 용기 
Cryogen-질소나 액체 헬륨과 같은 초전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매 
Quenching-전류가 통하는 코일에서 초전도성을 상실하는 것으로서 상전도로 변화되는 현상 
Permanent magnet-거대한 지남철같은 영구자석
Superconductive magnet-냉매를 사용하여 코일의 온도를 절대온도 이하로
Electromagnet-전자석으로서 철심에 코일을 감고 전류를 통하면 자기유도에 의한 강력한 자석
Resistive magnet 상온에서 금속코일에 전류를 통과시켜 자장을 만드는 상전도형 자석
Shimming(shim coil)-주자장의 불균일성을 보상하여 균일한 자장을 위한 자장보정코일
Radiofrequency shield-RF 차폐에는 알미늄이나 동판이 사용된다
Magnetic shielding-균일한 자장을 유지하기 위한 차폐방법으로서 , 외부로 부터의 자장을 차단하며 magnet 주위를 철판으로 감싼다
Bandwidth-수신기에 수신된 주파수 대역폭, 주파수 부호화축에 발생된 주파수의 범위로서 5KHZ~ 100KHZ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Radiofrequency (radiofrequency pulse RF)-MRI 사용되는 라디오주파는 5~200MHZ
Presaturation (presaturation pulse)-영상화 과정에서 특정부분에 대한 신호를 없는 pulse
Pulse sequence-spin 흥분시키고 MR signal 얻기 위해 발사되는 RF pulse,SE, GE, IR 
Spin echo (SE)-spin echo pulse sequence  
T1 weighted image (T1WI)-T1 강조영상이라 하며 TR TE 짧게 하여 얻은 영상으로서 해부학적 관찰에 중요한 영상이다. Spin-lattice relaxation-T1 relaxation
Short TR-TR 500msec 보다 작은 경우로서 T1WI 이용된다
T2 weighted image(T2WI)-T2 강조영상이라 하며 TR TE 모두 길게하여 얻은 영상으로서 병리학적 진단에 필수적인 영상이다. Spin-spin relaxation-T2 relaxation
Transverse relaxation-T2 relaxation(횡이완, T2이완)
Long TR-TR 2000msec 이상의 경우를 말하며 T2WI 이용된다.
T2* weighted image (T2* WI)-T2 star 강조영상이라 하며 GE기법에 의한 T2 강조영상으로서 cardiac imaging, MRA, dynamic study, spine 등에 이용된다.
STIR(short TI inversion recovery)-지방소거기법으로서 반전시간은 150~170msec 정도이다.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뇌척수액(CSF) 신호를 억제시키는 기법
FLASH-fast low angle shot imaging 
CHESS(chemical shift selective) pulse-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효과를 이용하여 지방이나 물만을 선택적으로 영상화하는 기법으로서 주파수 선택 여기라 한다.
Echo time(TE, time echo)-90°RF pulse 에서 에코신호(echo signal)까지의 시간으로서 영상의 특성화에 관여하는 MRI 부가인자이다. spin echo에서 90°pulse에서 echo signal까지의 시간이며 조직이 흡수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시간으로 설명된다.
Inversion time(TI)-IR pulse sequence에서 180°pulse 90°pulse 사이의 시간 IR pulse sequence에서 180°pulse에서 90°pulse까지의 시간을 반전시간이라 하며  대조도가 결정된다
Inversion recovery(IR)-inversion recovery pulse sequence 말하며 180°pulse 90°pulse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Repetition time(TR)-pulse sequence에서 90°pulse 다음 90°pulse까지의 시간으로서 조직의 수소원자핵이 에너지를 흡수하는 시간이다.
Three dimensional imaging (3D)-3차원적 영상화기법으로서 volume 전체의 조직에 균일한 자장을 인가하여 동일한 R.F 영상화하며 MRA, spine, knee joint 등에 응용된다
Two dimensional imaging (2D)-2차원적 영상화기법으로서 공간적인 위치정보의 획득
Back projection-영상재구성에 사용되는 수학적 기법으로서 2D, 3D 영상을재구성한다
Phase contrast technique(PC)-신호의 위상(phase) 이용한 MRA 기법
Angiography(MR angiography MRA)-자기공명 영상기법의 하나로서 TOF기법과 PC기법에 의해 얻어지는 혈관조영술을 말한다.
Maximum intensity projection(MIP)MR angio 사용되는 기법의 하나이며 최대강도투영법
TOF(time of flight effect)-증폭이동효과로서 MRA 응용된다.
Paradoxical enhancement-역설적 신호증강 효과로flow-related enhancement(유속신호증강)

수양명 대장경 경혈


상양(정혈)
식지요측 조갑각 뒤로 1 / 치통, 인후종통, 함종, 수지마목, 열병한불출, 혼미
0.1 천자, 점자사혈

이간(형혈)
2중수지관절 전방요측 적백육제,  0.2-0.3직자 / 목혼, 비뉵, 치통, 인후종통, 열병
삼간(/ )
2중수골 소두 뒤로 요측 요함부, 0.5-0.8직자 / 치통, 목통, 인후종통, 수지 수배홍종

합곡 (원혈, 사총혈- 얼굴주관, 사관혈()- 합곡, 태충
1-2중수골 사이에서 2중수골의 요측 중앙 0.5-1.0 직자
투통, 경항통, 목적종통, 비뉵, 치통, 면종, 인후종통, 구완와사, 비색, 비연, 이롱, 차시, 아관긴폐, 복통, 변비, 소아경풍, 상지동통,위비,열병무한,다한,폐경,산체,이질

양계 (경혈)
완관절 요측 무지세울때 단무지신근건, 장무지신근건 사이 (Capal tunnel 요혈)
0.3-0.5직자 / 투통, 목적종통, 치통, 인후종통, 수완통

편력(낙혈- 대장경에 속하고 폐경에 낙함)
양계 위로 3(양계-곡지) 0.5-0.8 /직자
비뉵, 이롱, 수비산통, 수종, 목적, 이명, 인후통

온류 (극혈) 온경산한
양계 위로 5 0.5-1.0 직자 / 두통, 면종, 인후동통, 장명, 복통, 주비산통

하렴
곡지아래 4 0.5-1.0 직자 / 복통, 장명, 주비통, 상비불수
상렴
곡지아래 3 0.5-1.0 직자 / 견비산통, 상비불수, 수비마목, 장명, 복통

수삼리 (주료와 함께 테니스 엘보 요혈, 골프 엘보)
곡지아래로 2, 0.8-1.2 / 복통, 복사, 견배동통, 상지불수, 치통, 협종

곡지 (합혈)
주횡문 외단 요함부, 1.0-1.5 직자
인후종통, 치통, 목적통, 상지불수, 나력, 풍진, 복통, 토사, 열병

주료 
곡지에서 비스듬히 외측으로 1, 0.5-1.0 직자 / 주비산통, 마목, 연급

수오리 
곡지위 3(곡지-견우) 0.5-1.0 직자주비연통, 나력
비노

주요혈 정리


천지 – 0.2-0.4 사자, 폐기흉주의 –  4늑간 유두 외측 1.0
            흉민, 협통, 액하종통
내관낙혈&팔맥교회혈 0.5-0.8 직자, 완횡문 위로 2
            심통, 심계, 전광, 간증, 실면, 번조, 위통, 구통, 오심, 애역, 주비연통, 열병, 학질, 흉민, 협통
중층 - 정혈 0.1 천자.삼릉침 점자 사혈, 중지 첨단의 중앙
            심통, 심번, 혼권, 중서, 경궐, 설강종통, 열병, 장중열
동자료- 0.3-0.5 횡자 외안각의 0.5, 안와외측연의 요함부
            두통, 목적통, 시력감퇴, 영풍유루, 구완와사
청회 – 0.5-0.7 직자(개구), 병간절흔 , 하악골과상돌기의 후연, 개구시 움푹들어감
            이명, 이롱, 치통, 아관불리, 차시(볼거리), 구완와사
완골 – 0.3-0.5 사자, 유양돌기 후하방의 요함부
            두통, 실명, 협종, 치통, 구완와사, 이후통
양백 – 0.3-0.5 횡자, 전두액의 미모의 중앙에서 직상하여 1
            전액통, 미릉골통, 목현, 영풍유루, 안검순동, 안검하수, 목통
풍지코끝을향해 0.5-0.8,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상단 사이의 요함부, 풍부 동위
            두통, 현훈, 실면, 경항강통, 목적통, 목시불명, 청맹
            열병, 이명, 추축, 간증, 소아경풍, 감모, 비색, 비연
견정 – 0.3-0.5 직자, 폐기흉 주의, 임산부 금기, 대추와 견봉의 이은선의 중점
            난산, 나력, 중풍, 유옹, 유즙불하, 경항강통, 견배통, 비불거
일월담의모혈, 0.3-0.5 직자, 기문아래로 늑골 하나 내려온곳, 유두직하 7늑간극
            유옹, 협통, 구토, 탄산, 구역, 황달 / 폐기흉 주의
경문신의모혈, 0.3-0.5 직자, 복막강 주의 측요부에서 대략 12늑골단의 하제
            장명, 설사, 복창, 요협통
대맥 – 0.5-0.8 직자, 복막강주의, 11늑골단 장문의 직하, 배꼽과 서로 수평
            월경부조, 폐경, 적백대하, 산기, 요협통, 복통, “땀으로 물속에 있는 느낌
환도 – 1.5-2.5 직자,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의 연결선에서 외측 1/3 지점
            요퇴통, 하지위비, 반신불수
풍시 – 0.7-1.2 직자, 대퇴외측의 중앙선에서 괵횡문 위로 7/ 중지 끝이 닿는곳
            전신소양, 하지위비, 요퇴산통, 각기
외구 – 0.5-0.8 직자, 외과의 위로 7 / 비골의 전연
            광견상독불출, 흉협통, 경항통, 퇴통
광명낙혈, 0.7-1.0 직자, 외과의 첨단에서 5 직상 / 비골의 전연
            유창통, 목시불명, 목통, 야맹, 슬통, 하지위비
현종수회혈, 0.3-0.5 직자, 비골주의, 외과첨단 3, 비골후연 /단비근건사이
            중풍, 반신불수, 경항통, 협통, 복창, 하지위비, 족경연통, 각기
외관낙혈/팔맥교회혈, 0.5-1.0 직자, 양지위의 2, 척골과 요골사이(비교:내관)
            낙침, 주비굴신불리, 수지동통, 수전, 협륵통, 열병, 두통, 협통, 이롱, 이명
천정합혈, 0.3-0.5 직자, 팔을 굽혈을때 척골주두의 상방1 요함부
            나력(임파염), 기영(갑상선종), 간증, 편두통, 경항통, 견비통
견료 – 0.7-1.0 직자. 견봉돌기의 외측하방 견우위 1 
           경비동통불거, 상지위비
사죽공 – 0.3-0.5 횡자, 눈썹끝의 외단에서 오목한곳 (동자료와 비교)
           구완와사, 두통, 목현, 목적통, 안검순동, 치통               
행간형혈, 0.3-0.5 천자, 족배에서 1,2 지의 지봉간으로, 지복연의 후방
            두통, 현훈, 목적종통, 작목, 구와, 월경부조, 요통, 협통, 소변불리, 산통
            간증, 추축, 실면, 복창
태충형혈/원혈 0.3-0.5 직자, 족배에서 1,2 중족골 접합부 앞의 요함부
            두통, 현훈, 실면, 목적종통, 울증, 붕루, 산기, 유뇨, 소변불리
            내과전연통, 협통, 구와, 소아경풍, 간증
여구낙혈, 0.3-0.5 횡자, 내과첨단에서 5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에 가까운곳
            소변불리, 유뇨, 산기, 월경부조, 적백대하, 외음소양, 족경위비
중도극혈, 0.5-0.8 횡자, 내과첨단에서 7촌직상경골내측면 내측연에 가까운곳
            오로부절, 붕루, 산기, 복통, 협통, 설사
장문비모혈/장회혈, 0.5-0.8 직자,간비대/비장비대, 측복부의 11늑골단의 하제
            협통, 복창, 장명, 구통, 설사, 완곡불화(소화불량)

인영 (ST9) 조구 (ST38)


ST 9 인영

후두융기 흉쇄유돌근의 전연에서 취혈.
총경동맥(Carotid artery) 지나는곳, CPR 맥박을 확인 하는 부위

인후종통 Sore throat / 천식 Asthma / 기영 Goiter 
혈자리와 가까운 위치인 인후,기관지, 갑상선 부위 치료.

면적 - Redness on face 
고혈압 관련하여 면적이 발생한 경우 총경동맥의 혈류 조절이 면적에도 효과 있을것

두훈 (어지럼증) Dizziness 혈관계 순환 장애관련, 기립성 현기증   
                             (Vertigo    전정기관() 또는 소뇌관련
총경동맥과 관련된 측면에서 뇌혈류 순환장애로 인한 어지럼증 관련인  Dizziness 효과.



ST 38 조구

상거허 아래 2 (족삼리 아래 5), 독비와 해계의 중앙부위(하퇴부의 평형)

산통 Pain due to hernia or Pain of testis / 완복통 Abdominal pain
족양명 위경이 복부 특히 소복(기충부위) 지나고, 위경의 표리 기관인 비장의 비기승발로인한 내장위치 고수에도 영향이 있을것으로 예상.

슬경마목 / 족완불수 Weakness, Numbness, Atrophy knee & ankle
족양명위경중 하퇴부의 중앙으로 무릎과 발목의 질환을 동시에 치료할것으로 예상.

견통불거 Motor impairment and pain of shoulder = 오십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