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맥 - Superficial or floating
침맥 - Deep or Submerged
지맥 - Slow
삭맥 - Rapid or Quick
허맥 - Deficient or Xu(weak)
실맥 - Excess or Strong
홍맥 - Surging or Huge
세맥 - Thready or Fine
활맥 - Rolling or Slippery
삽맥 - Hesitant or Rough
현맥 - String-taut or Wiry
긴맥 - Tense
유맥 - Soft
약맥 - Weak
촉맥 - Abrupt or Short
결맥 - Knotted
대맥 - Regularly-intermittent
출처 : California Acupuncture Board www.acupuncture.ca.gov/
팔맥교회혈
팔맥교회 조합
내관, 공손 - 심, 흉, 위
후계, 신맥 - 경항, 견배, 내자, 이(귀), 소장, 방광
족임읍, 대맥 - 이(귀)후, 협외자, 견
열결, 조해 - 인후, 흉, 폐 (+자궁, 음허내열)
충맥 - 공손
임맥 - 열결
독맥 - 후계
대맥 - 족임읍
양유맥 - 외관 극 양교
음유맥 - 내관 극 축빈
양교맥 - 신맥 극 부양
음교맥 - 조해 극 교신
내관, 공손 - 심, 흉, 위
후계, 신맥 - 경항, 견배, 내자, 이(귀), 소장, 방광
족임읍, 대맥 - 이(귀)후, 협외자, 견
열결, 조해 - 인후, 흉, 폐 (+자궁, 음허내열)
충맥 - 공손
임맥 - 열결
독맥 - 후계
대맥 - 족임읍
양유맥 - 외관 극 양교
음유맥 - 내관 극 축빈
양교맥 - 신맥 극 부양
음교맥 - 조해 극 교신
상한론 육경의 요약 2013
상한론 기말 정리 2013 spring
1. 상한론의 팔강
태양 - 양증의 표증 소음 - 음증의 표증
양명 - 양증의 리증 태음 - 음증의 리증
소양 - 양증의 반표반리증 궐음 - 음증의 반표반리증
2. 육경의 제강
태양 - 맥부 두항강통이 오한
양명 - 위가실야
소양 - 구고 인건 목현
태음 - 복만이토 식불하 자리익심 시복자통 약하지,필흉하결경
소음 - 맥미세 단욕매
궐음 - 소갈 기상당심 심중동열 기이불욕식 식즉토회 하지리부지
3. 치료원칙
태양 - 신온화중건위, 조위해표 (조화영위해표, 신온발한해표)
양명 - 상:토법 중-화중청열 하-공하법
소양 - 청열화해
태음 - 온중거한
소음 - 신미로 주리 열고, 정기롤 보(온성항분, 강장침쇠) 강장발한해표
궐음 - 온양화해
4. 대표처방 / 5. 방해
태양
마황탕 - 마황 계지 행인 자감초
마황,계지 - 발한
행인 - 천식
자감초 - 완급
계지탕 - 계지 작약 자감초 생강 대조
계지,생강 - 발한 건위, 구토
대조,감초 - 위기보 진액자윤 영위조화
발한해열, 안중건위자액, 감온제열
양명
대승기탕 - 대황 망초 후박 지각
대황 - 공하
망초 - 연견
후박,지실 - 소창파결
백호탕 - 석고 지모 자감초 갱미
석고,지모 - 제열지번
감초,갱미 - 안중양정
소양
소시호탕 - 시호 황금 반하 인삼 생강 대조 자감초
시호 - 소기행체, 해열, 흉협고만 특효약
황금 - 제열지번
반하,생강 - 축음지구
인삼,대조,감초 - 진액자양, 위기보
사역산 - 시호 작약 지실 자감초
대시호탕-황금,대황,생강,대조,반하 / +자감초
시호,지실,작약 - 행기해열약
시호 - 흉협고만 / 지실 - 심하견만 / 작약 - 복연통
태음
사역탕 - 부자 건강 자감초
생부자 - 온중회양, 진흥침쇠
감초 - 완급양액
건강 - 온중축음
이중탕 - 인삼 건강 백출 자감초
감초건강탕+인삼,백출
인삼을 주약으로 심하비와 위허를 다스림
소음
진무탕 - 복령 작약 생강 백출 부자
부자탕-인삼 /+생강
복령,백출 - 이수
부자 - 온중
생강 - 온중해표
작약 - 복통하리
궐음
오매환 - 오매 세신 건강 황련 당귀 부자 촉초 계지 인삼 황백
건강,부자,세신,산(촉)초 신미로 구한, 온이온하
황련,황백 - 상열을 내림
인삼,당귀 - 보 기혈
초 오매 - 수렴 대산대수
인삼 - 조 당귀 보
황련,황백 - 치설사, 과도한 신산을 방지
반표반리허한증, 고탈지리, 구충
반하사심탕 - 반하 황금 건강 자감초 인삼 황련 대조
반하,건강 - 온양건중, 구음지구
황련,황금 - 지사,청열
인삼,대감,자감초 - 위기보
반표반리음중의 상열하한증
뇌신경 12 쌍
- 제1뇌신경(후각신경) : 감각신경으로 냄새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 제2뇌신경(시각신경) : 감각신경으로 시각에 관여한다.
- 제3뇌신경(눈돌림신경), 4뇌신경(도르래신경), 6뇌신경(갓돌림신경) : 안구(눈알)의 움직임
- 제5뇌신경(삼차신경) : 얼굴, 입, 코의 점막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신경이다.
- 제7뇌신경(얼굴신경) : 얼굴의 근육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이다. 혀 앞 2/3
- 제8뇌신경(속귀신경) : 몸의 균형감각과 청각에 관여한다.
- 제9뇌신경(혀인두신경) : 목 안쪽 일반감각과 혀 뒤 1/3의 미각, 자율신경반사등에 관여한다.
- 제10뇌신경(미주신경) : 인후두근육과 내부장기근육의 운동, 내장기관들의 자율신경 관련
- 제11뇌신경(더부신경) : 목근육과 상부 등근육의 움직임과 연관된다.
- 제12뇌신경(혀밑신경) : 혀의 운동신경이다.
1. 후각신경
후각. 냄새를 맡음
2. 시각신경
시각. 볼 수 있게 함.
3. 동안신경
동공축소, 상안검(눈꺼풀)올리기, 안구운동, 렌즈조정.
4. 활차신경
눈 아랫쪽이랑 안쪽으로 움직이는 운동
5. 삼차신경
5-1. 안신경 - 안구, 이마, 코의 감각
5-2. 위턱신경 - 얼굴, 인두, 입속 감각
5-3. 아래턱신경 - 저작운동(음식을 씹는것), 옆머리, 혀의 감각, 이를 꽉 물 수 있게 함
6. 외전신경
눈의 외전운동(눈 바깥으로 굴리기),
7. 안면신경
앞이마, 눈주위, 입주위근육, 미각, 침분비,
(표정지을 때 쓰임)
8. 청신경
청각과 평형감각
9. 설인신경
인두, 음식삼키기를 도움, 혀 뒷쪽 1/3부분의 미각, 구토반응
10. 미주신경
구개, 인두, 후두의 운동, 10번이 잘못되면 쉰 목소리가 남..
내장근육조정, 발성
11. 부신경
승모근의 상부와 흉쇄유돌근
12. 설하신경
혀를 움직이는 운동.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