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Santa Clara

양교 비양 부양


양교(담35) - 양유맥 극혈, 족삼양경 교회혈
     외과 상 7촌 비골후연, 직 0.5-0.8

비양(방58) - 족태양 낙혈
     곤륜 상 7촌 승산 외하방 1촌, 직 0.7-1.0

부양(방59) - 양교맥 극혈,
     곤륜 상 3촌, 직 0.5-1.0

독맥 전발제에서 후발제 까지의 경혈 위치

전발제 - 0.5 신정 - 1.0 신정 - 2.0 신회 - 3.5 전정 - 5.0 백회
후발제 - 0.5 아문 - 1.0 풍부 - 2.5 뇌호 - 4.0 강간 - 5.5 후정

*아문의 자침법 : 직 0.5-0.8

기항지부와 장부의 본

기항지부

뇌 수 골 맥 담 여자포

중정지부 : 담
원신지부 : 뇌
정명지부 : 두
흉중지부 : 배부
혈지부 : 맥

현부 : 한공
고부 : 삼초
근맥부 : 무릎
신지부 : 허리 (요)
수지부 : 골


장부의 본

간 - 파극
심 - 생
비 - 창름
폐 - 기
신 - 봉장


정서에 따른 기의 움직임

노즉기상 희즉기완 사즉기결 비즉기소 공즉기하 경즉기란



한방 내과학 정리 2

영병

치료원칙 - 이기화담, 소영산결
주요장기 - 심, 간
주요본초 - 해조, 해대, 곤포      *소영산결 - 황약자

1) 석영 - 견경, 위치 고정
2) 육영 - 피부색이 변하지 않음
3) 근영 - 근맥이 노결
4) 혈영 - 적맥이 교략
5) 기영 - 우수에 따라 소장

병기
1) 정지내상
2) 음식과 수토실의
3) 체질의 소인

변증
1) 기울담조 : 박백태 현맥
      이기서울, 화담소영 - 사해서울환 (청목향, 진피)
2) 담결혈어 : 백니 또는 박백태 현 또는 삽맥
      이기활혈, 화담소영 - 해조옥호탕
3) 간화항성 : 설질홍 박황태 현삭맥
      간화청설 - 치자청간탕 + 조약산 (해조, 황약자)
4) 심간음허 :  설질홍 설체전동 현세삭맥
      음저의 자양, 영심유간 - 천왕보심단


수종

음수종 : 전신종, 불번갈, 대변당, 소변소, 부적삽
양수종 : 전신종, 번갈, 소변적삽, 대변폐

주요장기 : 폐비신 - 제습종만 개속어비, 본은 신, 말(표)는 폐

병기
1) 풍사외습 - 폐
2) 습독침음 - 비
3) 수습침지 - 비기수곤
4) 습열내성 - 삼초옹체
5) 음식노권 - 상 비위
6) 방노과도 - 신원내상

양수
1) 풍수의 범람 : 설태박백 부활맥
      산풍청열, 선폐행수 - 월비가출탕
2) 습독의 침음 : 설질홍, 부삭 또는 활삭
      선폐해독, 이습소종 - 마황연교적소두탕 + 오미소독음
3) 수습침지 : 백니태, 침완맥
      건비화습, 통양이수 - 오피산 + 위령탕
4) 습열옹성 : 황니태, 침삭 또는 유삭맥
      습열분리 - 소착음자

음수
1) 비양허쇠 : 설담 백니 또는 백활태, 침완 또는 침약맥
      비양의 온윤 - 실비음
2) 신기쇠미 : 설질담반 백태, 침세 또는 침지무력맥
      온신조양, 화기행수 - 제생(우차)신기환 + 진무탕


임증

병인
1) 방광습열
2) 비신휴허
3) 간기울체

종류
1) 석림 - 청열이습, 통림배석 - 석위산
2) 고림 - 실:비해분청음, 허:고림탕
3) 혈림 - 청열통림, 양혈지혈 - 소계음자
4) 기림 - 실:침향산, 허:보중익기탕
5) 열림 - 청열이습통림 - 팔정산
6) 노림 - 건비익신 - 무비산약환


융폐

병인
1) 습열온결
2) 폐열기옹
3) 비기불승
4) 신원휴허
5) 간울기체
6) 요로조색

변증
1) 방광습열 : 청열이습 - 팔정산
2) 폐열옹성 : 폐열청해 - 청폐음
3) 간울기체 : 기기소조, 소변통리 - 침향산
4) 요로조색 : 행어산결 - 대저당환 (결석: 금전초, 해금사, 동규자, 구맥, 편축)
5) 중기부족 : 승양강탁, 화기이수 - 보중익기탕
6) 신양쇠약 : 온양익기, 보신이뇨 - 제생신기환



요통

병인
1) 한습감수
2) 습열감수
3) 기체혈어
4) 신휴체허

변증
1) 한습요통 - 백니태 맥침
      산한행습, 온경통락 - 감초건강복령백출탕
2) 습열요통 - 황니태 맥유삭
      청열이습, 서근지통 - 사묘환 + 여정자, 한련초
3) 어혈요통 - 설질암자 맥삽
      활혈화어, 이기지통 - 신통축어탕
4) 신허요통 -설홍소태 현세삭맥 - 좌귀환
                       설담 맥침세 - 우귀환



소갈 - 다음 다식 다뇨

상소 - 갈, 다음 - 청열윤폐, 생진지갈 - 소갈방
중소 - 소곡선기 - 청위사화, 양음증액 - 옥녀전
하소 - 다뇨, 지고 - 자음고신:육미지황환, 온장자신고섭:금궤신기환

병인
1) 음식부절제
2) 정지실조
3) 노욕과도



이명

병인
1) 신기부족
2) 비위허약
3) 정지실조
4) 비위습열
5) 풍열외습

변증
1) 간담화성 : 황태 맥현삭
      청간설화 - 용담사간탕
2) 담화울결 : 설태박황니 맥현활
      화담청화, 화위강탁 - 온담탕
3) 풍열상요 : 부맥 박니태
      소풍청열 - 은교산
4) 신정휴허 : 설홍 세약맥 척맥허대
      자신강화, 수섭정기 - 이롱좌자환
5) 청기불승 : 박백니태 세약맥
      익기승청 - 익기총명ㅌㅇ



비증

병인
1) 풍한습사 - 독활기생탕
2) 열사의 감수

변증
1) 행비 : 박백태 부맥
      거풍통락, 산한제습 - 방풍탕
2) 통비 : 설태박백 맥현긴
      온경산한, 거풍제습 - 오두탕
3) 착비 : 설태백니 맥유완
      제습통락, 거풍산한 - 의이인탕
4) 풍습열비 : 설태황조 맥활삭
      청열통락, 거풍제습 - 백호계지탕

풍 - 백지
습 - 창출, 천남성
열 - 황백
한 - 독활, 육계
상체 - 계지, 위령선
하체 - 우슬, 방기, 비해, 목통


피내침과 피부침의 차이

피내침
만성, 완고성, 동통성 질병
신경성두통, 편두통, 위통, 담석산통, 신경쇠약, 고혈압, 효천, 불면, 유뇨, 월경부조, 통경

피부침 = 칠성침, 매화침
두통, 고혈압, 근시, 월경통, 늑간 신경통, 신경쇠약, 실면, 위장병, 신경피부염, 국소피부염

두 특수침 모두 두통, 고혈압, 위통, 신경쇠약, 실(불)면, 월경문제에 사용

*삼릉침
통경활락, 소종산어, 개구설열
무균조작으로 감염을 방지

소산화 투천량

일종의 종합 보사법이다.

소산화
서질, 제삽, 개합 보법만 조합
환자가 온열감을 느낌 / 허한성 질병 치료
3진 1퇴

투천량
서질, 제삽, 개합 사법만 조합
환자가 냉량감을 느낌 / 실증, 열증을 치료
1진 3퇴

온리약의 특별제량 (탕제)

육계
1.5-4.5g

오수유
1.5-4.5g

정향
1-3g

육진양약, 팔신양약

육진
낭독, 반하, 진피, 지실, 마황, 오수유
     (+신곡, 대황, 원화, 형개, 목적)

팔신
자초, 박하, 국화, 도화, 적소두, 관동화, 택란, 괴화

18반 19외

18반
부자, 천오, 초오
반하 과루 패모 백급 백렴

감초
해조 대극 원화 감수

여로
인삼 당삼 사삼 단삼 현삼 고삼 세신 적작 백작

19외
인삼 외 오령지
천오/초오 외 서각
정향 외 울금
파두 외 견우
아초 외 삼릉
육계 외 적석지
유황 외 박초
수은 외 비상
낭독 외 밀타승


독성 경감
부자 - 감초
반하 - 생강
빈랑 - 상산



육경의 기혈 관계

다기다혈 : 양명경
다기소혈 : 태음경, 소음경, 소양경
소기다혈 : 태양경, 궐음경

유문(K21) 보랑(K22) 장부조직 손상

21유문 임맥방 0.5촌 직자 0.3-0.7
심자시 간첨 손상

22 보랑 임맥방 2 촌 사자 0.3-0.5
심자시 심 또는 간 손상

단유 (젖을 뗄때), 유옹

단유
경혈 : 족임읍, 광명
본초 : 생맥아 (회유소창)

유옹
과루, 우방자, 포공영

4대 허증 증상의 구분

음허 : 도한, 관홍, 조열, 오심번열
양허 : 창백, 사지궐냉, 요슬산연, 소변청장
기허 : 창백, 사지무력, 소기나헌, 식욕저하
혈허 : 창백, 월경부조, 현훈, 사지마비통

기경팔맥과 낙맥의 대표 증후

기경팔맥

독맥 : 척주강통, 각궁반장, 두통, 전간
임맥 : 대하, 월경부조, 불임, 불육, 산기, 유정, 유뇨, 요폐, 위완소복통, 음중통
충맥 : 복내구급이통, 월경부조, 불임, 불육, 기천
대맥 : 복부창만, 요부이완무력, 대하, 자궁하수, 하지위연
양교맥 :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음교맥 : 전간, 다면, 소복통, 요관련 음중통, 하지경련족내번
양유맥 : 오한발열, 표증
음유맥 : 흉통, 심통, 위통, 이증

15락맥

수태음 낙맥 : 수완/수장부 발열, 호흡기단, 유뇨, 빈뇨
수소음 낙맥 : 흉격창만, 설화불능
수궐음 낙맥 : 심통, 심번

수양명 낙맥 : 치통, 이롱, 아치발냉, 흉격민색, 불창
수태양 낙맥 :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수소양 낙맥 : 주관절 구련, 주관절 이완불수

족양명 낙맥 : 전광, 족경부 기육위축과 이완, 인부종통, 돌연음아
족태양 낙맥 : 비색, 비류정체, 두통, 배통, 비출혈
족소양 낙맥 : 족부궐냉, 하지탄탄, 기립불능

족태음 낙맥 : 복내교통, 곽란토사
족소음 낙맥 : 요저류, 요통, 심번흉민
족궐음 낙맥 : 양강부도, 음부소양, 고환종창, 산기

임맥지락 : 복부피부 창통, 소양
독맥지락 : 척주강직, 두부침중, 요두
비대지락 : 편신동통, 사지관절이연 무력

제탁혈 Ti tou xue

위치 : 관원 방 4촌
직자 0.8-1.2 가구
공효 : 자궁탈, 하복통, 탈항

십칠추하 (十七椎下) Shiqizhuixia

경외기혈 십칠추하

제 5요추 극돌기하
직자 0.8-1.2

공효: 통락 이(利)요배
요통, 퇴통, 하지위비, 월경부조, 통경

83방제 중 생대감이 포함되는 방제 (생강 대조 감초or자감초)

1. 시갈해기탕 시갈강 백금석 길작 생대감
2. 계지탕         계작 생대감
3. 소시호탕     시금하인 생대감
4. 평위산         창후진 생대감
5. 귤피죽여탕 귤죽인 생대감
6. 소건중탕     이계작 생대감
7. 반하백출천마탕 백천 반귤령 생대감
8. 소자강기탕 소소 반전후 육당 생대감
9. 행소산         행소 전길작 반귤영 생대감
10. 곽향정기산 곽자 백백 반귤영 후대(복)길 생대감

인생대감
1. 소시호탕
2. 귤피죽여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