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침구학 호침의 규격
촌수의 길이 계산법
0.5 = 1.5 cm
1.0 = 2.5 cm
침의 직경 호수
26 = 0.45 mm
28 = 0.38 mm
30 = 0.32 mm
32 = 0.26 mm
34 = 0.22 mm
십이경별
1합 방광 : 항문, 방광, 심, 신
신 : 신, 대맥, 설본
2합 위 : 위, 비, 심
비 : 인후, 설중
3합 담 : 간, 담, 심
간 : 음모부
4합 소장 : 액부, 심, 소장
심 : 흉중, 심
5합 대장 : 유방, 항후, 대장, 폐
폐 : 흉, 폐, 대
6합 삼초 : 결분, 삼초, 흉중
심포 : 흉, 삼초
신 : 신, 대맥, 설본
2합 위 : 위, 비, 심
비 : 인후, 설중
3합 담 : 간, 담, 심
간 : 음모부
4합 소장 : 액부, 심, 소장
심 : 흉중, 심
5합 대장 : 유방, 항후, 대장, 폐
폐 : 흉, 폐, 대
6합 삼초 : 결분, 삼초, 흉중
심포 : 흉, 삼초
수소음 심경, 수궐음 심포경의 비교
수소음 심경: 다기소혈 / 오시 오전 11시 - 오후1시
수궐음 심포경 : 소기다혈 / 미시 오후 7시 - 오후 9시
수소음심경, 수궐음심포경 모두 교회혈/교회경이 없다. (수태음퍠경도 교회경 없음)
1 극천/천지 (기시혈 공통)
2 청영/천천
3 소해/곡택 (합혈 공통)
4 영도/극문 (경혈/극혈)
5 통리/간사 (낙혈/경혈)
6 음극/내관 (극혈/낙혈)
7 신문/대릉 (수원혈 공통)
8 소부/노궁 (형화혈 공통)
9 소충/중충 (정혈 공통)
수소음 심경 : 대부분 직자 0.3-0.5
*극천, 소해:직 0.5-1.0 / 소충 천자 0.1
수궐음 심포경 : 대릉, 노궁 0.3-0.5
*천지 : 사 0.2-0.4 / 천천. 곡택 직0.5-0.7 / 극문,간사 직 0.5-1.0
*내관 : 직 0.5-0.8
수궐음 심포경 : 소기다혈 / 미시 오후 7시 - 오후 9시
수소음심경, 수궐음심포경 모두 교회혈/교회경이 없다. (수태음퍠경도 교회경 없음)
1 극천/천지 (기시혈 공통)
2 청영/천천
3 소해/곡택 (합혈 공통)
4 영도/극문 (경혈/극혈)
5 통리/간사 (낙혈/경혈)
6 음극/내관 (극혈/낙혈)
7 신문/대릉 (수원혈 공통)
8 소부/노궁 (형화혈 공통)
9 소충/중충 (정혈 공통)
수소음 심경 : 대부분 직자 0.3-0.5
*극천, 소해:직 0.5-1.0 / 소충 천자 0.1
수궐음 심포경 : 대릉, 노궁 0.3-0.5
*천지 : 사 0.2-0.4 / 천천. 곡택 직0.5-0.7 / 극문,간사 직 0.5-1.0
*내관 : 직 0.5-0.8
적외선 자외선 CAM
적외선 치료 주의
피로, 현훈, 불면 *금기 : 폐결핵, 악성종양, 심부전, 출혈, 감각이상
자외선 치료 적응증
골반염, 절종, 단독, 습진, 구루병, 유즙소, 통상, 화상, 효천, 관절염
기능성 자궁출혈, 신경통, 자율신경장애, 피부소양 등
피로, 현훈, 불면 *금기 : 폐결핵, 악성종양, 심부전, 출혈, 감각이상
자외선 치료 적응증
골반염, 절종, 단독, 습진, 구루병, 유즙소, 통상, 화상, 효천, 관절염
기능성 자궁출혈, 신경통, 자율신경장애, 피부소양 등
CA board 시험 준비
242개의 본초의 성미 귀경 용량
83 가지의 방제의 구성, 용량과 적용범위, 유사방제의 비교 분별
410 혈위와 자침법, 깊이, 금기사항
그외 서양의학, 약리학, 의료법규, Clean needle technique
83 가지의 방제의 구성, 용량과 적용범위, 유사방제의 비교 분별
410 혈위와 자침법, 깊이, 금기사항
그외 서양의학, 약리학, 의료법규, Clean needle technique
응답하라 1994, 14화 칠봉이가 나정이 남편일수도?!
응답하라 1994 14화 칠봉이의 야구공이 비춰지는 장면 중, 책장에 꽂혀있는 책들은 의대의 전공서적 수준으로 보임; 질병예방... 근골격계.... 심전도......
나정이가 이걸 교양서로 봤을리는 없지 않을까 싶음
따라서 남푠은 쑤레기?!
그런데 다음장면이 문제....
이런.... 또 헷갈리게 함... 우리의 칠봉이도 아직 가능성이 있나?!
...
맨 왼쪽 귀퉁이의 검정책, Watching baseball 만 언뜻 보면 칠봉이구나 ... 싶었는데....
자세히 보면 책 제목이 watching baseball smarter 임.
그책은 아래와 같이 생긴.... 이 책은 말그대로 야구를 어케하믄 더 재미나게 볼수 있나하는 프로페셔널한 팬을 위한 도서로 보임......
그럼... 칠봉이는 정녕 안녕이란 말인가........
아니 그럼 의대생인 빙그레도 가능성이 ㅋㅋㅋ
맥의 구분
위, 삭, 형, 세에 따라 28 종으로 구분
정상맥상 1식 4-5지 완맥
양강맥
양성지맥 - 부 삭 활 대
음성지맥 - 침 지 삽 소
육요맥
부 침 지 삭 소 대
부 : 거지유여 안지부족
침 : 안지유여 거지부족
지 : 일식삼지 소이쇠
삭 : 일식육지 왕래급박
허 : 대이무력
실 : 응지유력
정상맥상 1식 4-5지 완맥
양강맥
양성지맥 - 부 삭 활 대
음성지맥 - 침 지 삽 소
육요맥
부 침 지 삭 소 대
부 : 거지유여 안지부족
침 : 안지유여 거지부족
지 : 일식삼지 소이쇠
삭 : 일식육지 왕래급박
허 : 대이무력
실 : 응지유력
CA 본초 일반 용량 g
신곡 6-15
맥아, 곡아, 산조인 9-15
맥아(단유시) 30-60
육계, 오수유, 노회 1.5-4.5
홍화, 계지, 인삼, 고삼 3-9
홍화(화혈) 0.5-1 / (양혈,유간)2-2.5 / (행혈) 중량을 사용
목통 3-6
산약 9-30
빈랑, 산수유 6-12
빈랑(구충시) 60-120
천오 :1.5-4.5 / 초오 1.5-3 / 부자 3-15
맥아, 곡아, 산조인 9-15
맥아(단유시) 30-60
육계, 오수유, 노회 1.5-4.5
홍화, 계지, 인삼, 고삼 3-9
홍화(화혈) 0.5-1 / (양혈,유간)2-2.5 / (행혈) 중량을 사용
목통 3-6
산약 9-30
빈랑, 산수유 6-12
빈랑(구충시) 60-120
천오 :1.5-4.5 / 초오 1.5-3 / 부자 3-15
CNT 표백제, 훈침, 지혈 방법
표백제 (차아염소산나트륨)
매끈한 표면 1:100 희석
구멍난 바닥 1:10 희석
실신(훈침)
인중 누름 또는 인중, 내관 자침
상반신 자침 후 : 족삼리
하반신 자침 후 : 합곡
지혈
정맥 : 30 - 60 초
동맥 : 최소 5 분
환자기록
검정색 잉크, 수정시 한 줄 긋고 이니셜 삽입
매끈한 표면 1:100 희석
구멍난 바닥 1:10 희석
실신(훈침)
인중 누름 또는 인중, 내관 자침
상반신 자침 후 : 족삼리
하반신 자침 후 : 합곡
지혈
정맥 : 30 - 60 초
동맥 : 최소 5 분
환자기록
검정색 잉크, 수정시 한 줄 긋고 이니셜 삽입
전광, 간질의 주치혈
전광 : 풍륭
전 : 심수 간수 비수 신문
광 : 대추 수구 풍부 내관
간질 : 요기
간질 시 : 수구 구미 간사 태충 풍륭 풍부 풍지 대추
간질 후 : 심수 인당 신문 삼음교 태계
담미심규 : 풍륭 심수 소충 간사
전 : 심수 간수 비수 신문
광 : 대추 수구 풍부 내관
간질 : 요기
간질 시 : 수구 구미 간사 태충 풍륭 풍부 풍지 대추
간질 후 : 심수 인당 신문 삼음교 태계
담미심규 : 풍륭 심수 소충 간사
양교 비양 부양
양교(담35) - 양유맥 극혈, 족삼양경 교회혈
외과 상 7촌 비골후연, 직 0.5-0.8
비양(방58) - 족태양 낙혈
곤륜 상 7촌 승산 외하방 1촌, 직 0.7-1.0
부양(방59) - 양교맥 극혈,
곤륜 상 3촌, 직 0.5-1.0
독맥 전발제에서 후발제 까지의 경혈 위치
전발제 - 0.5 신정 - 1.0 신정 - 2.0 신회 - 3.5 전정 - 5.0 백회
후발제 - 0.5 아문 - 1.0 풍부 - 2.5 뇌호 - 4.0 강간 - 5.5 후정
*아문의 자침법 : 직 0.5-0.8
후발제 - 0.5 아문 - 1.0 풍부 - 2.5 뇌호 - 4.0 강간 - 5.5 후정
*아문의 자침법 : 직 0.5-0.8
기항지부와 장부의 본
기항지부
뇌 수 골 맥 담 여자포
중정지부 : 담
원신지부 : 뇌
정명지부 : 두
흉중지부 : 배부
혈지부 : 맥
현부 : 한공
고부 : 삼초
근맥부 : 무릎
신지부 : 허리 (요)
수지부 : 골
장부의 본
간 - 파극
심 - 생
비 - 창름
폐 - 기
신 - 봉장
정서에 따른 기의 움직임
노즉기상 희즉기완 사즉기결 비즉기소 공즉기하 경즉기란
뇌 수 골 맥 담 여자포
중정지부 : 담
원신지부 : 뇌
정명지부 : 두
흉중지부 : 배부
혈지부 : 맥
현부 : 한공
고부 : 삼초
근맥부 : 무릎
신지부 : 허리 (요)
수지부 : 골
장부의 본
간 - 파극
심 - 생
비 - 창름
폐 - 기
신 - 봉장
정서에 따른 기의 움직임
노즉기상 희즉기완 사즉기결 비즉기소 공즉기하 경즉기란
한방 내과학 정리 2
영병
치료원칙 - 이기화담, 소영산결
주요장기 - 심, 간
주요본초 - 해조, 해대, 곤포 *소영산결 - 황약자
1) 석영 - 견경, 위치 고정
2) 육영 - 피부색이 변하지 않음
3) 근영 - 근맥이 노결
4) 혈영 - 적맥이 교략
5) 기영 - 우수에 따라 소장
병기
1) 정지내상
2) 음식과 수토실의
3) 체질의 소인
변증
1) 기울담조 : 박백태 현맥
이기서울, 화담소영 - 사해서울환 (청목향, 진피)
2) 담결혈어 : 백니 또는 박백태 현 또는 삽맥
이기활혈, 화담소영 - 해조옥호탕
3) 간화항성 : 설질홍 박황태 현삭맥
간화청설 - 치자청간탕 + 조약산 (해조, 황약자)
4) 심간음허 : 설질홍 설체전동 현세삭맥
음저의 자양, 영심유간 - 천왕보심단
수종
음수종 : 전신종, 불번갈, 대변당, 소변소, 부적삽
양수종 : 전신종, 번갈, 소변적삽, 대변폐
주요장기 : 폐비신 - 제습종만 개속어비, 본은 신, 말(표)는 폐
병기
1) 풍사외습 - 폐
2) 습독침음 - 비
3) 수습침지 - 비기수곤
4) 습열내성 - 삼초옹체
5) 음식노권 - 상 비위
6) 방노과도 - 신원내상
양수
1) 풍수의 범람 : 설태박백 부활맥
산풍청열, 선폐행수 - 월비가출탕
2) 습독의 침음 : 설질홍, 부삭 또는 활삭
선폐해독, 이습소종 - 마황연교적소두탕 + 오미소독음
3) 수습침지 : 백니태, 침완맥
건비화습, 통양이수 - 오피산 + 위령탕
4) 습열옹성 : 황니태, 침삭 또는 유삭맥
습열분리 - 소착음자
음수
1) 비양허쇠 : 설담 백니 또는 백활태, 침완 또는 침약맥
비양의 온윤 - 실비음
2) 신기쇠미 : 설질담반 백태, 침세 또는 침지무력맥
온신조양, 화기행수 - 제생(우차)신기환 + 진무탕
임증
병인
1) 방광습열
2) 비신휴허
3) 간기울체
종류
1) 석림 - 청열이습, 통림배석 - 석위산
2) 고림 - 실:비해분청음, 허:고림탕
3) 혈림 - 청열통림, 양혈지혈 - 소계음자
4) 기림 - 실:침향산, 허:보중익기탕
5) 열림 - 청열이습통림 - 팔정산
6) 노림 - 건비익신 - 무비산약환
융폐
병인
1) 습열온결
2) 폐열기옹
3) 비기불승
4) 신원휴허
5) 간울기체
6) 요로조색
변증
1) 방광습열 : 청열이습 - 팔정산
2) 폐열옹성 : 폐열청해 - 청폐음
3) 간울기체 : 기기소조, 소변통리 - 침향산
4) 요로조색 : 행어산결 - 대저당환 (결석: 금전초, 해금사, 동규자, 구맥, 편축)
5) 중기부족 : 승양강탁, 화기이수 - 보중익기탕
6) 신양쇠약 : 온양익기, 보신이뇨 - 제생신기환
요통
병인
1) 한습감수
2) 습열감수
3) 기체혈어
4) 신휴체허
변증
1) 한습요통 - 백니태 맥침
산한행습, 온경통락 - 감초건강복령백출탕
2) 습열요통 - 황니태 맥유삭
청열이습, 서근지통 - 사묘환 + 여정자, 한련초
3) 어혈요통 - 설질암자 맥삽
활혈화어, 이기지통 - 신통축어탕
4) 신허요통 -설홍소태 현세삭맥 - 좌귀환
설담 맥침세 - 우귀환
소갈 - 다음 다식 다뇨
상소 - 갈, 다음 - 청열윤폐, 생진지갈 - 소갈방
중소 - 소곡선기 - 청위사화, 양음증액 - 옥녀전
하소 - 다뇨, 지고 - 자음고신:육미지황환, 온장자신고섭:금궤신기환
병인
1) 음식부절제
2) 정지실조
3) 노욕과도
이명
병인
1) 신기부족
2) 비위허약
3) 정지실조
4) 비위습열
5) 풍열외습
변증
1) 간담화성 : 황태 맥현삭
청간설화 - 용담사간탕
2) 담화울결 : 설태박황니 맥현활
화담청화, 화위강탁 - 온담탕
3) 풍열상요 : 부맥 박니태
소풍청열 - 은교산
4) 신정휴허 : 설홍 세약맥 척맥허대
자신강화, 수섭정기 - 이롱좌자환
5) 청기불승 : 박백니태 세약맥
익기승청 - 익기총명ㅌㅇ
비증
병인
1) 풍한습사 - 독활기생탕
2) 열사의 감수
변증
1) 행비 : 박백태 부맥
거풍통락, 산한제습 - 방풍탕
2) 통비 : 설태박백 맥현긴
온경산한, 거풍제습 - 오두탕
3) 착비 : 설태백니 맥유완
제습통락, 거풍산한 - 의이인탕
4) 풍습열비 : 설태황조 맥활삭
청열통락, 거풍제습 - 백호계지탕
풍 - 백지
습 - 창출, 천남성
열 - 황백
한 - 독활, 육계
상체 - 계지, 위령선
하체 - 우슬, 방기, 비해, 목통
치료원칙 - 이기화담, 소영산결
주요장기 - 심, 간
주요본초 - 해조, 해대, 곤포 *소영산결 - 황약자
1) 석영 - 견경, 위치 고정
2) 육영 - 피부색이 변하지 않음
3) 근영 - 근맥이 노결
4) 혈영 - 적맥이 교략
5) 기영 - 우수에 따라 소장
병기
1) 정지내상
2) 음식과 수토실의
3) 체질의 소인
변증
1) 기울담조 : 박백태 현맥
이기서울, 화담소영 - 사해서울환 (청목향, 진피)
2) 담결혈어 : 백니 또는 박백태 현 또는 삽맥
이기활혈, 화담소영 - 해조옥호탕
3) 간화항성 : 설질홍 박황태 현삭맥
간화청설 - 치자청간탕 + 조약산 (해조, 황약자)
4) 심간음허 : 설질홍 설체전동 현세삭맥
음저의 자양, 영심유간 - 천왕보심단
수종
음수종 : 전신종, 불번갈, 대변당, 소변소, 부적삽
양수종 : 전신종, 번갈, 소변적삽, 대변폐
주요장기 : 폐비신 - 제습종만 개속어비, 본은 신, 말(표)는 폐
병기
1) 풍사외습 - 폐
2) 습독침음 - 비
3) 수습침지 - 비기수곤
4) 습열내성 - 삼초옹체
5) 음식노권 - 상 비위
6) 방노과도 - 신원내상
양수
1) 풍수의 범람 : 설태박백 부활맥
산풍청열, 선폐행수 - 월비가출탕
2) 습독의 침음 : 설질홍, 부삭 또는 활삭
선폐해독, 이습소종 - 마황연교적소두탕 + 오미소독음
3) 수습침지 : 백니태, 침완맥
건비화습, 통양이수 - 오피산 + 위령탕
4) 습열옹성 : 황니태, 침삭 또는 유삭맥
습열분리 - 소착음자
음수
1) 비양허쇠 : 설담 백니 또는 백활태, 침완 또는 침약맥
비양의 온윤 - 실비음
2) 신기쇠미 : 설질담반 백태, 침세 또는 침지무력맥
온신조양, 화기행수 - 제생(우차)신기환 + 진무탕
임증
병인
1) 방광습열
2) 비신휴허
3) 간기울체
종류
1) 석림 - 청열이습, 통림배석 - 석위산
2) 고림 - 실:비해분청음, 허:고림탕
3) 혈림 - 청열통림, 양혈지혈 - 소계음자
4) 기림 - 실:침향산, 허:보중익기탕
5) 열림 - 청열이습통림 - 팔정산
6) 노림 - 건비익신 - 무비산약환
융폐
병인
1) 습열온결
2) 폐열기옹
3) 비기불승
4) 신원휴허
5) 간울기체
6) 요로조색
변증
1) 방광습열 : 청열이습 - 팔정산
2) 폐열옹성 : 폐열청해 - 청폐음
3) 간울기체 : 기기소조, 소변통리 - 침향산
4) 요로조색 : 행어산결 - 대저당환 (결석: 금전초, 해금사, 동규자, 구맥, 편축)
5) 중기부족 : 승양강탁, 화기이수 - 보중익기탕
6) 신양쇠약 : 온양익기, 보신이뇨 - 제생신기환
요통
병인
1) 한습감수
2) 습열감수
3) 기체혈어
4) 신휴체허
변증
1) 한습요통 - 백니태 맥침
산한행습, 온경통락 - 감초건강복령백출탕
2) 습열요통 - 황니태 맥유삭
청열이습, 서근지통 - 사묘환 + 여정자, 한련초
3) 어혈요통 - 설질암자 맥삽
활혈화어, 이기지통 - 신통축어탕
4) 신허요통 -설홍소태 현세삭맥 - 좌귀환
설담 맥침세 - 우귀환
소갈 - 다음 다식 다뇨
상소 - 갈, 다음 - 청열윤폐, 생진지갈 - 소갈방
중소 - 소곡선기 - 청위사화, 양음증액 - 옥녀전
하소 - 다뇨, 지고 - 자음고신:육미지황환, 온장자신고섭:금궤신기환
병인
1) 음식부절제
2) 정지실조
3) 노욕과도
이명
병인
1) 신기부족
2) 비위허약
3) 정지실조
4) 비위습열
5) 풍열외습
변증
1) 간담화성 : 황태 맥현삭
청간설화 - 용담사간탕
2) 담화울결 : 설태박황니 맥현활
화담청화, 화위강탁 - 온담탕
3) 풍열상요 : 부맥 박니태
소풍청열 - 은교산
4) 신정휴허 : 설홍 세약맥 척맥허대
자신강화, 수섭정기 - 이롱좌자환
5) 청기불승 : 박백니태 세약맥
익기승청 - 익기총명ㅌㅇ
비증
병인
1) 풍한습사 - 독활기생탕
2) 열사의 감수
변증
1) 행비 : 박백태 부맥
거풍통락, 산한제습 - 방풍탕
2) 통비 : 설태박백 맥현긴
온경산한, 거풍제습 - 오두탕
3) 착비 : 설태백니 맥유완
제습통락, 거풍산한 - 의이인탕
4) 풍습열비 : 설태황조 맥활삭
청열통락, 거풍제습 - 백호계지탕
풍 - 백지
습 - 창출, 천남성
열 - 황백
한 - 독활, 육계
상체 - 계지, 위령선
하체 - 우슬, 방기, 비해, 목통
피내침과 피부침의 차이
피내침
만성, 완고성, 동통성 질병
신경성두통, 편두통, 위통, 담석산통, 신경쇠약, 고혈압, 효천, 불면, 유뇨, 월경부조, 통경
피부침 = 칠성침, 매화침
두통, 고혈압, 근시, 월경통, 늑간 신경통, 신경쇠약, 실면, 위장병, 신경피부염, 국소피부염
두 특수침 모두 두통, 고혈압, 위통, 신경쇠약, 실(불)면, 월경문제에 사용
*삼릉침
통경활락, 소종산어, 개구설열
무균조작으로 감염을 방지
소산화 투천량
일종의 종합 보사법이다.
소산화
서질, 제삽, 개합 보법만 조합
환자가 온열감을 느낌 / 허한성 질병 치료
3진 1퇴
투천량
서질, 제삽, 개합 사법만 조합
환자가 냉량감을 느낌 / 실증, 열증을 치료
1진 3퇴
소산화
서질, 제삽, 개합 보법만 조합
환자가 온열감을 느낌 / 허한성 질병 치료
3진 1퇴
투천량
서질, 제삽, 개합 사법만 조합
환자가 냉량감을 느낌 / 실증, 열증을 치료
1진 3퇴
18반 19외
18반
부자, 천오, 초오
반하 과루 패모 백급 백렴
감초
해조 대극 원화 감수
여로
인삼 당삼 사삼 단삼 현삼 고삼 세신 적작 백작
19외
인삼 외 오령지
천오/초오 외 서각
정향 외 울금
파두 외 견우
아초 외 삼릉
육계 외 적석지
유황 외 박초
수은 외 비상
낭독 외 밀타승
독성 경감
부자 - 감초
반하 - 생강
빈랑 - 상산
부자, 천오, 초오
반하 과루 패모 백급 백렴
감초
해조 대극 원화 감수
여로
인삼 당삼 사삼 단삼 현삼 고삼 세신 적작 백작
19외
인삼 외 오령지
천오/초오 외 서각
정향 외 울금
파두 외 견우
아초 외 삼릉
육계 외 적석지
유황 외 박초
수은 외 비상
낭독 외 밀타승
독성 경감
부자 - 감초
반하 - 생강
빈랑 - 상산
4대 허증 증상의 구분
음허 : 도한, 관홍, 조열, 오심번열
양허 : 창백, 사지궐냉, 요슬산연, 소변청장
기허 : 창백, 사지무력, 소기나헌, 식욕저하
혈허 : 창백, 월경부조, 현훈, 사지마비통
양허 : 창백, 사지궐냉, 요슬산연, 소변청장
기허 : 창백, 사지무력, 소기나헌, 식욕저하
혈허 : 창백, 월경부조, 현훈, 사지마비통
기경팔맥과 낙맥의 대표 증후
기경팔맥
독맥 : 척주강통, 각궁반장, 두통, 전간
임맥 : 대하, 월경부조, 불임, 불육, 산기, 유정, 유뇨, 요폐, 위완소복통, 음중통
충맥 : 복내구급이통, 월경부조, 불임, 불육, 기천
대맥 : 복부창만, 요부이완무력, 대하, 자궁하수, 하지위연
양교맥 :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음교맥 : 전간, 다면, 소복통, 요관련 음중통, 하지경련족내번
양유맥 : 오한발열, 표증
음유맥 : 흉통, 심통, 위통, 이증
15락맥
수태음 낙맥 : 수완/수장부 발열, 호흡기단, 유뇨, 빈뇨
수소음 낙맥 : 흉격창만, 설화불능
수궐음 낙맥 : 심통, 심번
수양명 낙맥 : 치통, 이롱, 아치발냉, 흉격민색, 불창
수태양 낙맥 :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수소양 낙맥 : 주관절 구련, 주관절 이완불수
족양명 낙맥 : 전광, 족경부 기육위축과 이완, 인부종통, 돌연음아
족태양 낙맥 : 비색, 비류정체, 두통, 배통, 비출혈
족소양 낙맥 : 족부궐냉, 하지탄탄, 기립불능
족태음 낙맥 : 복내교통, 곽란토사
족소음 낙맥 : 요저류, 요통, 심번흉민
족궐음 낙맥 : 양강부도, 음부소양, 고환종창, 산기
임맥지락 : 복부피부 창통, 소양
독맥지락 : 척주강직, 두부침중, 요두
비대지락 : 편신동통, 사지관절이연 무력
독맥 : 척주강통, 각궁반장, 두통, 전간
임맥 : 대하, 월경부조, 불임, 불육, 산기, 유정, 유뇨, 요폐, 위완소복통, 음중통
충맥 : 복내구급이통, 월경부조, 불임, 불육, 기천
대맥 : 복부창만, 요부이완무력, 대하, 자궁하수, 하지위연
양교맥 :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음교맥 : 전간, 다면, 소복통, 요관련 음중통, 하지경련족내번
양유맥 : 오한발열, 표증
음유맥 : 흉통, 심통, 위통, 이증
15락맥
수태음 낙맥 : 수완/수장부 발열, 호흡기단, 유뇨, 빈뇨
수소음 낙맥 : 흉격창만, 설화불능
수궐음 낙맥 : 심통, 심번
수양명 낙맥 : 치통, 이롱, 아치발냉, 흉격민색, 불창
수태양 낙맥 :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수소양 낙맥 : 주관절 구련, 주관절 이완불수
족양명 낙맥 : 전광, 족경부 기육위축과 이완, 인부종통, 돌연음아
족태양 낙맥 : 비색, 비류정체, 두통, 배통, 비출혈
족소양 낙맥 : 족부궐냉, 하지탄탄, 기립불능
족태음 낙맥 : 복내교통, 곽란토사
족소음 낙맥 : 요저류, 요통, 심번흉민
족궐음 낙맥 : 양강부도, 음부소양, 고환종창, 산기
임맥지락 : 복부피부 창통, 소양
독맥지락 : 척주강직, 두부침중, 요두
비대지락 : 편신동통, 사지관절이연 무력
83방제 중 생대감이 포함되는 방제 (생강 대조 감초or자감초)
1. 시갈해기탕 시갈강 백금석 길작 생대감
2. 계지탕 계작 생대감
3. 소시호탕 시금하인 생대감
4. 평위산 창후진 생대감
5. 귤피죽여탕 귤죽인 생대감
6. 소건중탕 이계작 생대감
7. 반하백출천마탕 백천 반귤령 생대감
8. 소자강기탕 소소 반전후 육당 생대감
9. 행소산 행소 전길작 반귤영 생대감
10. 곽향정기산 곽자 백백 반귤영 후대(복)길 생대감
인생대감
1. 소시호탕
2. 귤피죽여탕
2. 계지탕 계작 생대감
3. 소시호탕 시금하인 생대감
4. 평위산 창후진 생대감
5. 귤피죽여탕 귤죽인 생대감
6. 소건중탕 이계작 생대감
7. 반하백출천마탕 백천 반귤령 생대감
8. 소자강기탕 소소 반전후 육당 생대감
9. 행소산 행소 전길작 반귤영 생대감
10. 곽향정기산 곽자 백백 반귤영 후대(복)길 생대감
인생대감
1. 소시호탕
2. 귤피죽여탕
비증의 분류와 치료 중국침구학
비痹증 | |||||
설질 | 맥상 | 방제 | |||
풍사 | 행비 | 설태박니 | 부긴/부완 | 방풍탕 | |
한사 | 통비 | 설태박백 | 현긴 | 오두탕 | |
습사 | 착비 | 태백니 | 유완맥 | 의이인탕 | |
열사 | 열비 | 태황 | 활삭맥 | ||
견관절통 | 견우 | 견료 | 견정 | 노유 | |
견갑통 | 천종 | 병풍 | 견외유 | 고황 | |
주비통 | 곡지 | 척택 | 천정 | 외관 | |
수완통 | 양지 | 양계 | 양곡 | 외관 | |
수지구련 | 양곡 | 합곡 | 후계 | ||
수지마통 | 후계 | 삼간 | 팔사 | ||
관관절통 | 환도 | 거료 | 현종 | ||
대퇴부통 | 질변 | 승부 | 양릉천 | ||
슬관절통 | 학정 | 독비 | 내슬안 | 음릉천 | 양릉천 |
소퇴마목통 | 승산 | 비양 | |||
과부통 | 해계 | 상구 | 구허 | 곤륜 | 태계 |
족지마목 | 공손 | 속골 | 팔풍 | ||
요척통 | 수구 | 신주 | 요양관 | ||
후계 | 신맥 | 대포 | 격수 | 견우 | |
전신통 | 곡지 | 합곡 | 양지 | 환도 | 양릉천 |
현종 | 해계 | ||||
행비/맥비 | 격수 | 혈해 | |||
통비 | 신수 | 관원 | |||
착비 | 족삼리 | 상구 | |||
열비 | 대추 | ||||
골비 | 대저 | 현종 | |||
출처 | 중국침구학 |
면역글로블린 종류
- Immunoglobulin A (IgA) 장과 호흡기의 점막 상피에 주로 작용, 15~20%
- Immunoglobulin G (IgG) 면역글로블린의 모든 기능을 수행, 전체혈청 면역글로블린의 약 75%
- Immunoglobulin M (IgM) B세포 표면위에 존재, 항원의 수용체 기능, 전체의 5~10%
- Immunoglobulin E (IgE) 알러지 반응(1형 과민반응 Anaphylactic), 혈액 또는 세포액 내에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존재
- Immunoglobulin D (IgD) B세포의 세포막 표면에 존재, 전체의 1% 이하
중풍 中風
"혈행하면 풍은 자멸한다."
현대의학의 뇌혈관 장애와 상견되며, 중풍은 풍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갑지가 일어나고 증세의 변화가 신속하다. 주요 병변부위는 주로 두부이고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불리의 후유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당송시대에는 주로 외풍학설, 금원시대에 이르러 내풍학설이 대두 되었고 이후 중풍의 병기는 유하간의 심하폭심, 이동원의 정기의 자허, 주단계의 습담생열등 여러 병인설로 설명 되고 장경악은 내상적손의 설로 설명하기도 하였지만 근대에 이르러서 주로 간양화풍, 기혈병역, 직충범뇌에 의한 병기라고 인식하고 있다.
장경악은 졸도에 관하여 풍으로 인한것이 아니라 내상적손이 퇴폐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오장의 진음이 상하고 양손이 나타나나 정기가 불교하여져 나타난다고 했다.
주단계는 습토는 생담하고 담은 생열 하며 열은 생풍해서 중풍에 이른다고 설명 하였다. 이는 음식의 부절제가 비의 건운을 실하게 하고 담탁의 형성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는 이론이다.
중풍의 발생은 허증(음허/기허), 화(간화/심화). 풍(간풍/외풍), 담(풍담/습담), 기(기역), 혈(혈어) 의 육단에서 돌연발병하고, 외풍은 진중풍 또는 진중 이라고 하고, 내풍은 유중풍 유풍이라 한다.
중풍과 간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중풍의 경우에 대부분 정신이 돌아온 후 후유증이 다견되지만 간증은 대부분 깨어난 후 다른 증상은 정상으로 돌아온다.
현대의학의 뇌혈관 장애와 상견되며, 중풍은 풍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갑지가 일어나고 증세의 변화가 신속하다. 주요 병변부위는 주로 두부이고 구안와사, 반신불수, 언어불리의 후유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당송시대에는 주로 외풍학설, 금원시대에 이르러 내풍학설이 대두 되었고 이후 중풍의 병기는 유하간의 심하폭심, 이동원의 정기의 자허, 주단계의 습담생열등 여러 병인설로 설명 되고 장경악은 내상적손의 설로 설명하기도 하였지만 근대에 이르러서 주로 간양화풍, 기혈병역, 직충범뇌에 의한 병기라고 인식하고 있다.
장경악은 졸도에 관하여 풍으로 인한것이 아니라 내상적손이 퇴폐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오장의 진음이 상하고 양손이 나타나나 정기가 불교하여져 나타난다고 했다.
주단계는 습토는 생담하고 담은 생열 하며 열은 생풍해서 중풍에 이른다고 설명 하였다. 이는 음식의 부절제가 비의 건운을 실하게 하고 담탁의 형성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는 이론이다.
중풍의 발생은 허증(음허/기허), 화(간화/심화). 풍(간풍/외풍), 담(풍담/습담), 기(기역), 혈(혈어) 의 육단에서 돌연발병하고, 외풍은 진중풍 또는 진중 이라고 하고, 내풍은 유중풍 유풍이라 한다.
중풍과 간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중풍의 경우에 대부분 정신이 돌아온 후 후유증이 다견되지만 간증은 대부분 깨어난 후 다른 증상은 정상으로 돌아온다.
한방 내과 정리
위통 | 한사객위 | 산한지통 | 생강홍당탕 | 양부환 |
음식정체 | 소식도체 | 보화환 | ||
간기범위 | 소간이기 | 시호소간산 | ||
간기울열 | 소간설열화위 | 화간전 | 좌금환 | |
어혈정체 | 혈혈화어 | 실소산 | 단삼음 | |
위음휴허 | 양음익위 | 일관전 | 작약감초탕 | |
비위허한 | 온중건비 | 황기건중탕 | ||
열격 | 담기교조 | 개울화담윤조 | 계격산 | 증액탕 |
진휴열결 | 진액자양 | 오즙안중음 | ||
어혈내결 | 자음양혈 | 통유탕 | ||
기허양미 | 비신온보 | 보비운비탕 | 우귀환 | |
구토 | 외사범위 | 소사해표 | 곽향정기산 | |
음식정체 | 소식화체 | 보화환 | ||
담음내조 | 온화담음 | 소반하탕 | 영계출감탕 | |
간기범위 | 서간화위 | 반하후박탕 | 좌금환 | |
비위허한 | 온중건비 | 이중환 | ||
위음부족 | 위음자양 | 맥문동탕 | ||
설사 | 한습(풍한) | 해표산한 | 곽향정기산 | |
습열(서습) | 청열이습 | 갈근금련탕 | ||
장위식체 | 소식도체 | 보화환 | 지실도체환 | |
간기승비 | 억간부비 | 통사요방 | ||
비위허약 | 건비익위 | 삼령백출산 | 부자이중환 | |
신양허쇠 | 온신건비 | 사신환 | ||
복통 | 한사내조 | 온중산한 | 양부환 | 정기천향산 |
습열옹체 | 설열통부 | 대승기탕 | ||
중허장한 | 온중보허 | 소건중탕 | ||
음식적체 | 소식도체 | 보화환 | 지실도체환 | |
기체혈어 | 소간활혈 | 시호소간산 | 소복축어탕 | |
변비 | 열비 | 청열윤장 | 마자인환 | |
기비 | 순기행체 | 육마탕 | ||
기허 | 익기윤장 | 황기탕 | 보중익기탕 | |
혈허 | 양혈윤조 | 윤장환 | ||
냉비 | 온양통변 | 제천천 | ||
황달 | 열중의습 | 청열이습 | 인진호탕 | |
습중의열 | 이습화탁 | 인진오령산 | ||
급황 | 청열해독 | 서각산 | ||
음황 | 건비화위 | 인진출부탕 | ||
취 | 간기울체 | 소간해울 | 소요산 | |
식체담조 | 도체통면 | 육마탕 | ||
적 | 기체혈조 | 이기활혈 | 금령자산 | 실소산 |
어혈내결 | 거어연견 | 격하축어탕 | ||
정허어결 | 기혈대보 | 팔진탕 | 화적환 | |
두통(외) | 풍한 | 소산풍한 | 천궁다조산 | |
풍열 | 소풍청열 | 궁지석고탕 | ||
풍습 | 거풍승습 | 강활승습탕 | ||
두통(내) | 간양 | 평간잠양 | 천마구등음 | |
신허 | 양음보신 | 대보원전 | 우귀환 | |
혈허 | 양혈 | 가미사물탕 | ||
담탁 | 화담강역 | 반하백출천마탕 | ||
어혈 | 활혈화어 | 통규활혈탕 | ||
현훈 | 간양상항 | 평간잠양 | 천마구등음 | |
기혈휴허 | 기혈보양 | 귀비탕 | 보중익기탕 | |
신정부족 | 보신자음 | 좌귀환 | 우귀환 | |
담탁중조 | 조슴거담 | 반하백출천마탕 | ||
중경락 | 낙맥공허 | 거풍양혈통락 | 대진교탕 | |
간신음허 | 자음잠양 | 진간식풍탕 | ||
중부장 | 양폐 | 청간식풍 | 지보단 | 안궁우황환 |
음폐 | 활담식풍 | 소합향환 | ||
탈증 | 익기회양 | 삼부탕 | 생맥산 | |
십이정경의 특징과 각 배속 시간
1. 수태음 폐경
다기소혈, 인시 오전 3-5시
2. 수양명 대장경
다기다혈, 묘시 오전 5-7시
3. 족양명 위경
다기다혈, 진시 오전 7-9시
4. 족태음 비경
다기소혈, 사시 오전 9-11시
5. 수소음 심경
다기소혈, 오시 오전 11-오후 1시
6. 수태양 소장경
소기다혈, 미시 오후 1-3시
7. 족태양 방광경
소기다혈, 신시 오후 3-5시
8. 족소음 신경
다기소혈, 유시 오후 5-7시
9. 수궐음 심포경
소기다혈, 술시 오후 7-9시
10. 수소양 삼초경
다기소혈, 해시 오후 9-11시
11. 족소양 담경
다기소혈, 자시 오후 11-오전 1시
12. 족궐음 간경
소기다혈, 축시 오전 1-3시
12정경과 시간 배속 관계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의 시간 배열로 보았을때, 족소양 담경-자시 부터 배속 되었다.
경락별 기혈 관계는,
다기다혈 - 양명경
다기소혈 - 태음경, 소음경, 소양경
소기다혈 - 태양경, 궐음경
위와 같이 구분 되며 영어로 순서에 따라 Hyper Qi, Hyper Blood 등으로 hyper/hypo 를 사용하여 구분 되고 있다.
12 정경 중 교회경이 없는 경락은 폐경, 심경, 심포경이다.
다기소혈, 인시 오전 3-5시
2. 수양명 대장경
다기다혈, 묘시 오전 5-7시
3. 족양명 위경
다기다혈, 진시 오전 7-9시
4. 족태음 비경
다기소혈, 사시 오전 9-11시
5. 수소음 심경
다기소혈, 오시 오전 11-오후 1시
6. 수태양 소장경
소기다혈, 미시 오후 1-3시
7. 족태양 방광경
소기다혈, 신시 오후 3-5시
8. 족소음 신경
다기소혈, 유시 오후 5-7시
9. 수궐음 심포경
소기다혈, 술시 오후 7-9시
10. 수소양 삼초경
다기소혈, 해시 오후 9-11시
11. 족소양 담경
다기소혈, 자시 오후 11-오전 1시
12. 족궐음 간경
소기다혈, 축시 오전 1-3시
12정경과 시간 배속 관계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의 시간 배열로 보았을때, 족소양 담경-자시 부터 배속 되었다.
경락별 기혈 관계는,
다기다혈 - 양명경
다기소혈 - 태음경, 소음경, 소양경
소기다혈 - 태양경, 궐음경
위와 같이 구분 되며 영어로 순서에 따라 Hyper Qi, Hyper Blood 등으로 hyper/hypo 를 사용하여 구분 되고 있다.
12 정경 중 교회경이 없는 경락은 폐경, 심경, 심포경이다.
83 방제 중 10미 이상 대방 암기법
백합고금탕
숙생천백맥 현귀작길감
삼령백출산
인백영자(사군자) 산편의연사길
십전대보탕
황육 팔진탕
우귀환
부육 숙산산구 녹토두당
소자강기탕
자(소소)반전후 육당생대감
완대탕
백창산인 차진시작길감
시갈해기탕
시갈 강백금석 작길생대감
행소산
자전행 쾌격(길각) 이진(반진영감) 생대
혈부축어탕
홍도천 생당적 시각감 우길
천마구등음
천구석 신금치 우익두상야
진간식풍탕
우대용모 귀현천작 인천맥감
귀비탕
인황백자 당신산용 원목생대
온경탕
오계 귀궁작 단아맥 인반생자
곽향정기산
곽자백백 반진영자 후길 대대생감
소풍산
형방우선 창고목석지 생당흑생
숙생천백맥 현귀작길감
삼령백출산
인백영자(사군자) 산편의연사길
십전대보탕
황육 팔진탕
우귀환
부육 숙산산구 녹토두당
소자강기탕
자(소소)반전후 육당생대감
완대탕
백창산인 차진시작길감
시갈해기탕
시갈 강백금석 작길생대감
행소산
자전행 쾌격(길각) 이진(반진영감) 생대
혈부축어탕
홍도천 생당적 시각감 우길
천마구등음
천구석 신금치 우익두상야
진간식풍탕
우대용모 귀현천작 인천맥감
귀비탕
인황백자 당신산용 원목생대
온경탕
오계 귀궁작 단아맥 인반생자
곽향정기산
곽자백백 반진영자 후길 대대생감
소풍산
형방우선 창고목석지 생당흑생
83 방제 중 복신, 익모초, 녹각교 포함한 방제
* 복신이 들어가는 두가지 방제
천마구등음 : 천구 석 금치 우두 익상야 "복신"
귀비탕 : 인황백자 당 "복신" 산용 원목생대
*익모초가 들어간 방제
천마구등음 : 익모초 (활혈의 의미)
* 녹각교가 들어가는 두가지 방제
좌귀환 : 숙산산구 녹귀토우
우귀환 : 부육 숙산산구 녹투토당
*좌귀환, 우귀환 공통약제 : 숙지황 산약 산수유 구기자 녹각교 토사자
천마구등음 : 천구 석 금치 우두 익상야 "복신"
귀비탕 : 인황백자 당 "복신" 산용 원목생대
*익모초가 들어간 방제
천마구등음 : 익모초 (활혈의 의미)
* 녹각교가 들어가는 두가지 방제
좌귀환 : 숙산산구 녹귀토우
우귀환 : 부육 숙산산구 녹투토당
*좌귀환, 우귀환 공통약제 : 숙지황 산약 산수유 구기자 녹각교 토사자
양미약 (우방) 2가지 약제로 된 간단방
대표적인 양미약 구성과 효능
1. 감길탕 : 길경, 감초
1. 감길탕 : 길경, 감초
소음객한, 인통
2. 감두탕 : 흑두, 감초
백물의 독을 해독한다
3. 불수산 : 당귀, 천궁 = 궁귀산
임산부의 순산
4. 실소산 : 오령지, 포황
산후아침통, 제복통
5. 작약감초탕 : 백작약, 감초
모든 통증에 사용
6. 지출환 : 백출, 지실
비민증, 비위허약 색인색용으로 통용
7. 쾌격탕 : 길경, 지각
흉민을 제거
8. 지경산 : 전충, 오공
완고성 두통
9. 좌금환 : 황련, 오수유
간화범위
10. 소반하탕 : 반하, 생강
거담, 강역지구
11. 육일산 : 활석, 감초 (6:1)
중서, 토사, 습열의 적백하리
12. 이지환 : 여정자, 한련초 동지와 하지
저열불퇴, 도한, 간신부족
13. 이묘산 : 창출, 황백 / 삼묘산 : + 우슬 / 사묘산 : + 의이인
하초청열조습 습창, 습선, 통풍 통풍, 이수삼습
14. 금령자산 : 천련자, 연호색
소간설열, 활혈지통
양미약이 무엇이냐고 묻는 문제는 거의 나올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최근 출제 경향에서 비중이 올라가고 있는 변방(modification)의 문제로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 합니다.
암기보다는 두가지약의 상승효과를 연상하면서 이해하시면 시험 준비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83 방제 구성에 대해
1. 원래 CA acupuncture board에서 출제되는 방제의 가짓수는 63방제였음.
<참고> 63 방제
출처 : California Acupuncture Board
<참고> 63 방제
1. 마황탕 2. 계지탕 3. 상국음 4. 은교산 5. 시갈해기탕
6. 갈근탕 7. 인삼패독산 8. 백호탕 9. 황련해독탕 10. 마행석감탕
11. 용담사간탕 12. 청호별갑탕 13. 대승기탕 14. 소승기탕 15. 조위승기탕
16. 소시호탕 17. 사역산 18. 소요산 19. 반하사심탕 20. 오령산
21. 저령탕 22. 오피산 23. 평위산 24. 곽향정기산 25. 팔정산
26. 진무탕 27. 독활기생탕 28. 이중환 29. 오수유탕 30. 대건중탕
31. 사역탕 32. 사군자탕 33. 보중익기탕 34. 생맥산 35. 사물탕
36. 귀비탕 37. 십전대보탕 38. 육미지황환 39. 금궤신기환 40. 월국환
41. 반하후박탕 42. 소자강기탕 43. 정천탕 44. 귤피죽여탕 45. 도핵승기탕
46. 혈부축어탕 47. 계지복령환 48. 온경탕 49. 옥병풍산 50. 사신환
51. 고경환 52. 천왕보심단 53. 산조인탕 54. 감맥대조탕 55. 소풍산
56. 소활락단 57. 천마구등음 58. 이진탕 59. 온담탕 60. 패모과루산
61. 지수산 62. 반하백출천마탕 63. 보화환
6. 갈근탕 7. 인삼패독산 8. 백호탕 9. 황련해독탕 10. 마행석감탕
11. 용담사간탕 12. 청호별갑탕 13. 대승기탕 14. 소승기탕 15. 조위승기탕
16. 소시호탕 17. 사역산 18. 소요산 19. 반하사심탕 20. 오령산
21. 저령탕 22. 오피산 23. 평위산 24. 곽향정기산 25. 팔정산
26. 진무탕 27. 독활기생탕 28. 이중환 29. 오수유탕 30. 대건중탕
31. 사역탕 32. 사군자탕 33. 보중익기탕 34. 생맥산 35. 사물탕
36. 귀비탕 37. 십전대보탕 38. 육미지황환 39. 금궤신기환 40. 월국환
41. 반하후박탕 42. 소자강기탕 43. 정천탕 44. 귤피죽여탕 45. 도핵승기탕
46. 혈부축어탕 47. 계지복령환 48. 온경탕 49. 옥병풍산 50. 사신환
51. 고경환 52. 천왕보심단 53. 산조인탕 54. 감맥대조탕 55. 소풍산
56. 소활락단 57. 천마구등음 58. 이진탕 59. 온담탕 60. 패모과루산
61. 지수산 62. 반하백출천마탕 63. 보화환
2. 캘리포니아에서 금지하는 마황 등을 포함한 방제가 제외되고 상용방제를 추가하여 83방제로 개편 하였다.
3. 방제의 종류 5가지
한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탕(Decoction) 종류가 46가지, 산제(Powder) 종류가 19가지, 환제 (Pill) 종류가 14가지, 음 (Drink) 종류가 3가지, 마지막으로 환제의 고급버전인 단제(Special pill)로 소활락단이 유일하다.
4. 방제의 분류 16가지
보익제가 13가지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했고 청열제, 거습제가 두번째로 많은 8가지
거담제, 활혈제, 고삽제 6가지씩
해표제, 사하제, 온리제 5가지씩
화해제, 이기제, 치풍제 4가지씩
치조제, 안신제 3가지씩
지혈제 2 마지막으로 소도제는 보화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California Acupuncture Board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