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장부) 변증 증상별 정리


수소양 삼초경
  • Abdominal distension
  • Edema, dysuria
  • Deafness, tinnitus
  • Pain in the outer canthus, swelling of the cheeks
  • Congested and sore throat
  • Pain in the retroauricular region, shoulder, and lateral aspect of the arm and elbow


족소양 담경
  • Headache, pain in the outer canthus, pain in the jaw, blurring of vision
  • Bitter taste in the mouth
  • swelling and pain in the supraclavicular fossa, pain in the axilla and pain along the
  • lateral aspect of the chest, hypochondrium, thigh and lower limbs


족궐음 간경
  • Low back pain, fullness in the chest, pain in the lower abdomen
  • Hernia
  • Vertical headache
  • Dryness of the throat, hiccups
  • Enuresis, dysuria
  • Mental disturbance


수소음 심포경
  • Cardiac pain, palpitation, stuffiness in the chest
  • Mental restlessness, depressive and manic mental disorders
  • Flushed face
  • Swelling in the axilla, spasm of the upper limbs and heat sensation in the palms


족태양 방광경
  • Retention of urine, enuresis
  • Manic and depressive mental disorders
  • Pain of the eyes, lacrimation when exposed to wind, nasal obstruction, rhinorrhea, epistaxis, headache
  • Pain in the nape, back, low back, buttocks and posterior aspect of the lower limbs.


수태양 소장경
  • Deafness
  • Yellow sclera
  • Sore throat
  • Swelling of the cheeks
  • Distension and pain in the lower abdomen and pain in the posterior border of the lateral aspect of the shoulder and arm


족소음 신경
  • Enuresis, frequent urination
  • nocturnal emission, impotence, irregular menstruation
  • asthmatic breathing, hemoptysis, dryness of the tongue, congested and sore throat
  • Edema
  • Pain in the lumbar region and in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edial aspect of the thigh, weakness of the lower limbs and heat sensation in the soles


수소음 심경
  • Cardiac pain(chest pain), palpitation, hypochondriac pain
  • Insomnia, night sweating
  • Dryness of the throat, thirst
  • Pain in the medial aspect of the upper arm, pain and heat sensation in the palms


수양명 대장경
  • Epistaxis, watery nasal discharge
  • Toothache
  • Congested and sore throat
  • Borborygmus, abdominal pain, diarrhea and dysentery
  • Pain in the neck, anterior part of the shoulder and anterior border of the lateral aspect of the upper limb


수태음 폐경
  • Cough
  • Asthmatic breathing
  • Lung-distention
  • Fullness in the chest
  • Hemoptysis
  • Congested and sore throat
  • Pain and cold sensation in the shoulder, upper back, along the anterior aspect of the arm


족양명 위경
  • Borborygmus, abdominal distention, epigastric pain
  • Edema
  • Vomiting
  • Hunger
  • Deviation of the mouth, congested and sore throat, epistaxis
  • Pain in the chest, abdominal and anterior border of the lateral aspect of the lower limbs
  • Fever and mania


족태음 비경
  • Belching, vomiting, epigastric pain, abdominal distension, loose stools
  • Jaundice, heaviness of the body, lassitude
  • Stiffness and pains in the root of the tongue
  • Swelling of the medial aspect of the thigh and knee, cold extremities, and disability of the great toe

한방 골상과 정리 TCM Traumatology and Orthopedic

적색골수(in 해면골)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황색골수(in 골수강) ; 일부의 백혈구

Compound fracture : open and comlete

Hinge joint : Elbow cf)Partial hinge:knee joint
Saddle joint : Thumb

Static(정적) - Isometric(등척성)
                      - Isotonic(등장성) - concentric(단축성) & Eccentric(신장성)
Dynamic(동적) - Isokinetic(등속성)

Deltoid C5 - Bicep reflex
Biceps C6 - Branchioradial reflex
Triceps C7 - Triceps refle
Interossei C8 : Finger abd, add

Supraspinatus 극상근
Infraspinatus 극하근
Teres minor 소원근
Subscapularis 견갑하근

Apley's test : active range of motion (AROM)
Drop arm test : tear in rotator cuff
Y(G)erason test : Biceps tendon
Apprehension test : shoulder dislocation / "Duga's sign

De Quervain's disease (양계 부위)
     - Finkelsten test (baby fist) and deviation ulnar side
Guyon Tunnel = Pisiform + hook of Hamate
Capal Tunnel : Tinel sign, Phalen test

태양경근 : 손이 뒤로 안돌 때, 손을 등 뒤로 돌릴 때 이상
대장경근 : 손바닥 위로해서 올릴때
삼초경근 : 손등을 위로해서 올릴때
소장경근 : 손을 목 뒤로 반대쪽 귀 잡을때, 손을 등위로 돌릴 때 이상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pain arc 60`~120`
     => Supraspinatus tendinitis or Bursitis
Mills manipulation : for tennis elbow, wrist extension and rotate inside 

Thoracic outlet syndrome
          Adson test: head ipsilateral side, hold and deep breath, shoulder passive abduct
          Halstead test: hyper-extension
          Allen test: head turn opposite, arm abduct&elevate

Carrying angle : Men 5`  Women 10-15`
Q(quadriceps) angle : Men 12`  Women 16`

대능형골      소능형골     유두골     유구골
Trapezium Trapezoid Capitate Hamate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           두상골
Scaphoid Lunate    Triquetrum Pisiform


Muscle evaluation
5 100% Normal    full resistance
4 75%  Good        some resistance
3 50%  Fair            no resistance
2 25%  Poor          gravity omitted
1 10%  Trace        no joint motion
0 0%    Zero          no muscle contractility

Pronators회내근 Syndrome : pain and numbness in forearm
Dupuytren's contracture : palmar aponeurosis
Trigger Finger : nodule trapped behind sheath

Heberden's node : DIP
Bouchard's node : PIP

Hyoid bone: C3
Thyroid cartilage : C4
Frist cricoid ring : C6 = tracheostomy
C5-6 : most often involved facet joint ploblem

Torticollis (=wryneck) : Sternocledomastoid muscle
Whiplash injury : Traffic accident

Brachial plexus : C5-T1
Lumbar plexus : L2-S3
Jaw reflex test : Trigeminal cranial nerve(5th)
Chvostek test : Facial cranial nerve(7th) 

Iliac crests : between L4-L5
PSIS : S2 spinous process
Umbilicus : between L3-L4

Sciatic : L4-S3 , Tibial L4-S3, Common peroneal L4-S2

Piriformis syndrome : piriformis, obturator internus, sciatic nerve
Iliopsoas tendon(main flexor of hip) + lesser trochanter : T12 - L3
Quadriceps (hip adductor ) : L2 - L4

Patellar reflex : L4
Achilles refles : S1

Hoover test : 한쪽 다리 올릴때 다른쪽 아래로 향하는 힘이 느껴짐
Kernig test : meningeal sign, with hip flexed and knee flexed-cannot extend knee

Intrathecal pressure test
   1. Migram test : 누운자세로 다리를 5cm 정도 올리고 30초 유지
   2. Naphziger test : jugular vein 10 sec
   3. Valsalba maneuber : 허리 구부리고 숨을 참음

Rock the Sacroiliac joint
   1. Pelvic rock test
   2. Gaenslen's test : Iliopsoas M. & SI joint : 침대 끝에 누워 양다리 가슴으로 모으고 한쪽 떨어트림
   3. Patrick of Fabere test : 4자 검사, AVN 또는 내전근의 경직

Ober's test : 측와로 슬관절 90`, 고관절을 가능한 외전 자세유지, Fascia lata 염증 또는 구축
Ortolani click :Hip dysplasia (Women>Men)

SLR (Straight leg raising test)
   35` : sciatic root
   70` 이전 : SI joint
   70` 이후 : Lumbar spine

Gait 
Stance phase : Heel strike - Foot flat - Mid stance - Push off  
Swing phase : Accelration - Mid swing - Deceleration

Trendelenburg gait sign : Glutues medius
Propulsive gait : 평발
Steppage gait : 까지발
Waddling(duck) gait : 양발

Spastic gait : 다리가 원을 그리며 전진
Scissors gait (adductor) 가위 모양

Pelvic girdle : hip joint, SI joint, pubic symphsis
Inguinal Triangle : Femoral vein-artery-nerve (VAN)
Sartorius : 가장 길다 ASIS - Knee(tibial tuberosity)

Snapping hip (gluteal tendinitis) : 
     External : Gluteus medius - Iliotibial band
     Internal : Iliopsoas tendon catches on femoral head

Supertrochanteric plane : staring point of sciatic nerve

Pre-patellar bursitis
Pes anserine bursitis : medial aspect of the tibial tubercle

valgus : knock knee
varus : bow leg
lax ligament : genu recurvatum

Osgood-Schlatter's syndrome 
: patellar tendon palpable to its insertion into the tibial tubercle

Medial meniscus : attached to upper edge of the plateau (more common damage)
ITB(iliotibial tract band) 
Baker's cyst : gastrocnemius-semimembranosus bursa)

Unhappy triad syndrome = ACL+median meniscus+median collateral ligament

Bounce home test : bounce after knee drop
Lachmen test : ACL 20~30` 
Anterior draw: ACL 90`
McMurray test : Meniscus ( median, lateral )
Apley's compression and distraction test : compression or grinding
Patella femoral grinding test


영아 사망률


영아사망률:
지역사회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영아사망률이 조사망율에 비해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이유?

조사망율은 연령구성에 의한 영향을 받지만 영아사망률은 한정된(1년미만) 연령군이기 때문

영아사망률은 환경위생, 영아보건관리 모자보건수준과 관계가 크다.

오장발생론


(내경,소문陰陽應象大論
東方生風風生木木生酸酸生肝 
南方生熱熱生火火生苦苦生心 
中央生濕 濕生土 土生甘 甘生脾 
西方生燥 燥生金 金生辛 辛生肺 
北方生寒 寒生水 水生鹹 鹹生腎

오행의 목화토금수는 나무, , , , 물이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가르키 는 것이 아니라, 기의 생장화수장하는 변화를 이야기하는 것 뿐이고, 생 장화수장이란 말을 좀더 쉽게 바꾸면 기의 변화가 생겨났다가 더 왕성하 게 활동하다가 거두워들이고, 뭉쳐진다고 하는 변화이다.

운기에서 運은 계절의 변화이며, 계절의 변화 역시 마찬가지로 목화토금수즉 생장화수장하는기운의변화로볼수있는데사실봄과여름,가 을, 겨울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자연의 변화는 점이 아닌 원이고 순환이기 때문이다.

육기는 기의 6가지 형태로, 기운의 흐름, 기운이 강력하고 약하고 밀도가 높고 낮음 등에 따라 風寒暑濕燥火로 나누어지는데, 한열은 온도변화, 조습의습도변화,풍은그러한기운의흐름으로볼수있다.지구상에존 재하는 공기, 무형의 기운의 변화를 일컬으며 지구대기에 기후현상을 발 생케한다

오장의 본 本




1.罷極之本
  간 파극지본
2.生之本
  심 생지본
3.之本
  비 창름지본
4.氣之本
  폐 기지본
5.封藏之本 
 신 봉장지본
  

기항지부 奇恒之部



奇恒之部 기항지부

腦髓骨脈膽,女子胞
뇌수골맥담,여자포


形態上 : 大部分 多屬中空하여 腑와 비슷
功能上 : 飮食物의 消化 및 排泄通道가 없고 精氣貯藏함으로

臟의 生理功能과 비슷 精氣爲滿, 水谷爲實

所謂, 五臟者, 藏精氣而不瀉也, 故滿而不能實 (滿)
      六腑者, 傳化物而不藏, 故實而不能滿也 ()
五臟은 精氣를 貯藏하고 排泄하지 않으므로 滿하기는 해도 實하지 않다≫
六腑는 영양을 傳化하되 貯藏하지 않으므로 實하기는 해도 滿하지 않다≫


臟以藏爲主, 腑以通爲用 : 臟은 貯藏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腑는 疎通시 키는 것을 氣能으로 한다,

六腑以通爲用, 以降爲順 : 육부는 통을 근본으로하되 내려가는 것을 순 리로 삼고있다

五臟에는 虛證이 많고 六腑에는 實證이 많다

五臟은 精氣가 꽉차 있으므로 부족하면 病이 되어 虛證이 되고 六腑는 通降이되어비어있으므로꽉차면病이되어實證이된다

한의학과 숫자 하나 - 열둘






1.태극
한의학의 기본원리 정체관념과 같이 인체는 하나의 유기체다. 이 세상의 시작 우주도 하나고 그로 통하는 道 역시 하나이다.


2.음양
태극은 음양으로 나뉘며 서로 상생하며 대립 의존 소장 전화 한다. 음양학설은 한의학의 이론체계이며 진단과 치료를 지도한다.


3.삼초 / 천지인
삼초는 장부 외부에 위치하며 상,중,하초로 이루어져있고, 모든 기를 주관하고 원기와 수액의 통로이다


4.사상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여 각기 체질에 따라 성격, 심리상태, 내장의 기능과 이에 따른 병리, 생리, 약리, 양생법과 음식의 성분까지 분류한다. 체질에 따라 내장의 대소 허실이 결정되어 있으며, 사람은 생리적으로 이 네 체형의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간주한다.


5.오행
자연에서의 목, 화, 토, 금, 수 다섯가지 물질을 가리키며 우주의 모든 사물은 위의 다섯가지 물질로 귀속하며 서로 복잡한 운동과 편화가 형성된다.


6.육경
음이 많을 것을 태음, 적은 것을 소음이라 하고 양이 많은 것을 태양, 적은것은 소양이라 한다. 양이 극하면 양명이되고, 음이  진하면 궐음이 된다.

7.칠정
인간의 여러가지 감정을 일컫는 말로 노희사비우공경으로 대표되며, 한의학상의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하며 각 장부에 귀속한다.


8.팔강
음양 표리 한열 허실의 팔강으로 복잡한것을 간단히 파악함으로서 질병을 진단한다.


9. 구규
두개의 눈, 코구멍, 귀구멍과 입과 요도 항문을 일컫는다. 구규로 약물을 투입하여 질병을 치료한다.


10. 십선
열손가락 끝의 정중앙 10개의 혈자리로 막힌 기혈을 통하게 하는 응급치료혈로 사용된다.

11. 오장육부
오장육부로 대표되는 인체의 각장부는 다섯개의 음장과 여섯개의 양부로 이루어져있다. 지구또한 오대양 육대주로 구성되어 있다.  


12. 십이경락
12경맥은 각장부에 배속되어 있고 경과 경 사이의 순환유주관계와 표리상합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경외기혈

태양 미초와 외안각 사이 후방 1촌
인당 양미두 연결선 중앙
상렴천 악하정중선 1촌하, 설골과 하악연 사이
이첨 이각상방의 첨단
어요 미모의 중앙
사신총 백회 좌우전후 1촌
구후 안와하연 외측 1/4
협승장 승장 양옆 1촌
금진/옥액 설하정맥 좌금진 우옥액
비통 비순구 상단이 끝나는 곳
예명 예풍 1촌뒤
안면 예풍과 풍지사이

정천 대추 양옆 0.5촌, 제7경추 화타협척
화타협척 제1흉추에서 제5요추까지 극돌기 양옆 0.5촌
백로 대추 위2촌 독맥옆 1촌
위관하수 제8 흉추극돌기 옆 1.5촌
십칠추 제5 요추극돌기하
요기 미골첨단 2촌상
비근 제1 요추극돌기 옆 3.5촌
요안 제4 요추극돌기 옆 3.5촌
자궁 중극 옆 3촌
견전 전액횡문두와 견우의 중앙

십선 수지첨단
사봉 제2,4,5지 장면 근위지관절 횡문의 중앙
중괴 중지 근위지관절 중앙
팔사 수배 5지의 지봉상단
낙침 제2,3 중수골 중수지관절 뒤로 5푼
요통 제2,3 중수골과 제4,5 중수골 사이, 수배완횡문과 중수지관절의 중점
중천 양계와 양지사이
이백 완횜문 4촌상 요측수굴근건 양측의 각각1혈
비중 전완장측 완횡문 주횡문의 중간 6촌
주첨 척골주두 첨단

환중 환도와 요수의 중앙
백충와 혈해 1촌상
슬안 슬개인대 양측, 독비(내슬안)
난미혈 족삼리 2촌하
담낭혈 양릉천 1-2촌하
팔풍 족배 지봉단 (내정)

임맥 독맥

회음 항문과 음부 사이
곡골 치골연합 상연
중극 제하 4촌
관원 제하 3촌
석문 제하 2촌
기해 제하 1.5촌
음교 제하 1촌
신궐 제중

수분 제상 1촌
하완 제상 2촌
건리 제상 3촌
중완 제상 4촌
상완 제상 5촌
거궐 제상 6촌
구미 제상 7촌, 검상돌기

중정 제5 늑간극
전중 제4 늑간극
옥당 제3 늑간극
자궁 제2 늑간극
화개 흉골각의 중앙
선기 흉골병의 중앙, 천돌 1촌하
천돌 흉골상와 
염천 설골상연
승장 해순구 정중

장강 미골첨단 항문사이
요수 제4 천골열공 속
요양관 제4 요추극돌기, 장골릉과 수평
명문 제2 요추극돌기
현추 제1 요추극돌기

척중 제11 흉추극돌기
중추 제10 흉추극돌기
근축 제9 흉추극돌기
지양 제7 흉추극돌기
영대 제6 흉추극돌기
신도 제5 흉추극돌기
신주 제3 흉추극돌기
도도 제1 흉추극돌기
대추 제7 경추극돌기

아문 후발제 0.5촌상
풍부 후발제 1촌상
뇌호 풍부 1촌상
강간 뇌호 1.5촌상
후정 강간 1.5촌상
백회 후발제 7촌상
전정 백회 1.5촌앞
신회 전발제 2촌상, 백회 앞 3촌
상성 전발제 1촌상
신정 전발제 0.5촌상

소료 비첨단
수구 인중구 가운데
태단 상순첨단 홍순 피부
은교 상순계대와 치은 접합부



족궐음 간경

대돈 족무지 외측
행간 제1,2지 지봉간
태충 제1,2 중족골 접합부
중봉 내과 전방 1촌, 상구와 해계사이
여구 내과 5촌상, 경골의 내측면
중도 내과 7촌상, 경골의 내측면
슬관 음릉천 1촌뒤, 비복근 내측두 상부
곡천 대퇴골내측상과 후연, 반막양근과 반건양근 정지부 전연
음포 대퇴골 내측상과 위 4촌, 내측광근과 봉공근 사이

족오리 기충 3촌하, 장내전근의 외연
음렴 기충 2촌하,  장내전근의 외연
급맥 치골결합 아래의 외측, 임맥에서 2.5촌, 기충의 외하방 서혜구
장문 제11 늑골단 하제
기문 제6 늑간극 유두직하

족소양 담경

동자료 외안각 옆 0.5촌
청회 병간절흔 앞, 하악골 과상돌기 후연
상관 협골궁 상연, 하관의 직상방
함염 두유와 곡빈사이 위의 1/4
현로 두유와 곡빈사이 1/2
현리 두유와 곡빈사이 아래 1/4
곡빈 빈발의 후연 직상, 각손 앞 1횡지

천충 솔곡 뒤 0.5촌
부백 유양돌기 후상방, 천충과 두규음의 중간
두규음 유양돌기 후상방
완골 유양돌기 후하방
본신 신정 옆 3촌
양백 미모 중앙 1촌상
두임읍 양백 직상, 전발제 0.5촌상
목창 두입음 1.5촌상
정영 목창 1.5촌상
승령 정영 1.5촌상
뇌공 풍지 직상, 뇌호와 같은높이
풍지 흉쇄유돌근과승모근 상단, 풍부와 같은 높이

견정 대추와 견봉 사이의 중점
연액 액와 3촌하
첩근 연액 앞 1촌, 유두와 수평
일월 유두 직하 제7늑간극
경문 측요부 제 12늑골단
대맥 11늑골(장문) 직하 신궐과 수평
오추 상전장골극 전방, 제하 3촌
유도 오추 전하방 0.5촌
거료 상전장골극과 대퇴골대전자 중간
환도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 외측 1/3

풍시 대퇴외측 중앙선 괵횡문 수평선 7촌상
중독 슬와횡문 3촌상
슬양관 양릉천 3촌상
양릉천 비골소두 전하방

양교 외과첨단 7촌상, 비골의 후연
외구 외과 7촌상 비골의 전연
광명 외과 5촌상 비골의 전연
양보 외과 4촌상 비골의 전연, 장지신근과 단비골근 사이
현종 외과 3촌상 비골의 후연, 장/단비근건 사이
구허 외과 전하방, 장지신근건 외측
족임음 제4,5 중족골 결합부 전방, 소지신근건 외측
지오회 제4,5 중족골 사이, 소지ㄱ신근건 내측
협계 제 4,5 지봉간
족규음 제4지 외측


수소양 삼초경


관충 제4지 척측
액문 제4,5지 접합부 지복연 후방
중저 제4,5 중수골 사이, 중수지관절 후방
양지 총지신근건 척측
외관 양지 2촌상
지구 양지 3촌상
회종 양지 3촌상, 지구에서 척측 1횡지
삼약락 양지 4촌상
사독 척골주두 5촌하, 양지 7촌상

천정 척골 주두 1촌상
청랭연 천정 1촌상, 척골주두 2촌상
소락 청랭연과 노회 중간
노회 삼각근의 후연
견료 견봉돌기 외측하방, 견우 뒤 1촌
천료 견정과 곡원사이, 견갑골의 상각부

천유 유양돌기 후하부, 흉쇄유돌근 후연, 천용/천주와 수평
예풍 하악각과 유양돌기 사이
계맥 예풍과 각손 사이 하방 1/3
노식 예풍과 각손 사이 상방 1/3
각손 이첨 상방 발제 위
이문 이병상절 전방과 하악골 과상돌기 약간 상방
이화료 이곽근전 수푱, 빈발의 후연, 천측두동맥 후연
사죽공 눈썹끝 외단


수궐음 심포경

천지 제4 늑간 유두 외측 1촌
천천 전액횡문두 하방 2촌, 상완이두근 장/단두의 사이

곡택 상완이두근건 척측연
극문 완횡문 5촌상,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 사이
간사 완횡문 3촌상,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 사이
내관 완횡문 2촌상,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 사이
대릉 왕횡문,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 사이
노궁 제2,3 중수골 사이, 제3중수골 요측
중충 중지첨다 중앙

족소음 신경

용천 족저 요함부, 앞쪽 1/3
연곡 족내과 전하방, 주상골조면융기 하연
태계 내과와 근건 사이
대종 내과 후하방 근건 내측
수천 태계 1촌하
조해 내과 1촌하
복류 태계 2촌상, 근건의 전연
교신 복류 앞 0.5촌, 경골내측연 후방
축빈 태계 5촌상, 비복근의 내측
음곡 반건양근건과 반막양근건 사이

횡골 제하 5촌, 치골결합상연 곡골 옆 0.5촌
대혁 제하 4촌, 중극 옆 0.5촌
기혈 제하 3촌, 관원 옆 0.5촌
사만 제하 2촌, 석문 옆 0.5촌
중주 제하 1촌, 음교 옆 0.5촌
황수 제중 옆 0.5촌

상곡 제상 2촌, 하완 옆 0.5촌
석관 제상 3촌, 건리 옆 0.5촌
음도 제상 4촌, 중완 옆 0.5촌
복통곡 제상 3촌, 상완 옆 0.5촌
유문 제상 6촌, 거궐 옆 0.5촌

보랑 제5 늑간 2촌, 보랑
신봉 제4 늑간 2촌, 신봉
영허 제3 늑간 2촌, 응창
신장 제2 늑간 2촌, 옥예
욱중 제1 늑간 2촌, 고방
수부 쇄골하연 2촌, 기호

족태양 방광경

정명 목내안각 상방 0.1촌
찬죽 미모 내측단 안와절흔
미충 미두 직상, 신정과 곡차사이
곡차 신정 양옆 1.5촌
오처 상성 옆 1.5촌, 곡차 0.5촌상
승광 오처 1.5촌후
통천 승광 1.5촌후
낙각 통천 1.5촌후
옥침 뇌호 옆 1.3, 외후두조면융기상연 외측
천주 아문 옆 1.3, 승모근 외연

대저 제1 흉추극돌기 1.5촌, 도도
풍문 제2 흉추극돌기 1.5촌
폐수 제3 흉추극돌기 1.5촌, 신주
궐음수 제4 흉추극돌기 1.5촌
심수 제5 흉추극돌기 1.5촌, 신도
독수 제6 흉추극돌기 1.5촌, 영대
격수 제7 흉추극돌기 1.5촌, 지양
간수 제9 흉추극돌기 1.5촌, 근축
담수 제10 흉추극돌기 1.5촌, 중추
비수 제11 흉추극돌기 1.5촌, 척중
위수 제12 흉추극돌기 1.5촌

삼초수 제1 요추극돌기 1.5촌, 현추
신수 제2 요추극돌기 1.5촌, 명문
기해수 제3 요추극돌기 1.5촌
대장수 제4 요추극돌기 1.5촌, 요양관
관원수 제5 요추극돌기 1.5촌

소장수 제1 후선골궁 1.5촌
방광수 제2 후선골궁 1.5촌
중려수 제3 후선골궁 1.5촌
백환수 제4 후선골궁 1.5촌

상료 제1 후선골공
차료 제2 후선골공
중료 제3 후선골공
하료 제4 후선골공

회양 미골하단 양쪽, 독맥 옆 0.5촌
승부 둔횡문 중앙
은문 승부 6촌하
부극 위양 1촌상, 대퇴이두근건 내측
위양 위중의 외측, 대퇴이두근건 내연
위중 슬와횡문, 대퇴이두근건과 반건양근건 사이

부분 제2 흉추극돌기 3촌, 풍문
백호 제3 흉추극돌기 3촌, 폐수
고황 제4 흉추극돌기 3촌, 궐음수
신당 제5 흉추극돌기 3촌, 심수
의희 제6 흉추극돌기 3촌, 독수
격관 제7 흉추극돌기 3촌, 격수
혼문 제9 흉추극돌기 3촌, 간수
양강 제10 흉추극돌기 3촌, 담수
의사 제11 흉추극돌기 3촌, 비수
위창 제12 흉추극돌기 3촌, 위수

황문 제1 요추극돌기 3촌, 삼초수
지실 제2 요추극돌기 3촌, 신수

포황 제2 후선골공 3촌, 방광수
질변 제4 후선골공 3촌, 백환수

합양 위중 2촌하, 비복근 내외양두 사이
승근 비복근 근복중앙, 승산 3촌상
승산 비복근 근복아래, 위중 8촌하
비양 곤륜 7촌상
부양 곤륜 3촌상
곤륜 외과와 족근건 사이
복삼 외과 후하방
신맥 외과 정하방
금문 신맥 전하방, 입방외측
경골 제5 중족골조면융기 아래 적백육제
속골 제5 중족골소두 후하방 적백육제
족통곡 제5 중족지절관절 전하방
지음 족소지외측

수태양 소장경

소택 소지 척측
전곡 제5 중수지관절 앞 적백육제
후계 제5 중수지관절 후연 횡문두
완골 제5 중수골 기저와 삼각골 사이
양곡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사이
양로 척골 소두의 배면, 척골경상돌기 요측 골봉 안
지정 양곡 5촌상
소해 주두와 상완골 내측상과 사이

견정 액와후문두 1촌상
노유 견정에서 직상, 견갑극하연 요함부
천종 견갑극하와, 극하연 견갑골 하각 1/3 상
병풍 견갑극상와 중앙점
곡원 견갑극상와 내측단, 노유/제2 경추 같은높이
견외수 제1 흉추극돌기하 도도 옆 3촌
견중수 제7 경추극돌기하 대추 옆 2촌

천창 흉쇄유돌근 후연, 부돌의 후상방
천용 하악각 후방, 흉쇄유돌근의 전연
관료 외안각 직하, 관골의 하연
청궁 이병 앞, 하악골 과상돌기 후연

수소음 심경

극천 액와동맥 외측
청령 내측횡문두 3촌상
소해 내측횡문두 상완골 내측상과

영도 척측수근굴근건 요측 1,5촌
통리 척측수글굴근건 요측 1촌
음극 척측수근굴근건 요측 0.5촌
신문 척측수근굴근건 요측, 완횡문척측단
소부 제4,5 중수골 사이, 소지의 첨단 닿는 부위
소충 소지 요측

족태음 비경

은백 족무지 내측
대도 제1 중족지관절 적백육제
태백 제1 중족골소두 후하방 적백육제
공손 제1 중족골 기저부전하연
상구 내과 전하방
삼음교 내과 3촌상, 경골 내측면 후연
누곡 삼음교 3촌상
지기 음릉천 3촌하 누곡 4촌상 내과 10촌상
음릉천 경골내측과 하연, 경골내연
혈해 슬개골 내측상연 2촌상
기문 혈해 6촌상 슬개골 8촌상

충문 서혜구 외단상연, 대퇴동맥 외측, 치골결합 상연 높이
부사 충문 외측상방 7촌 임맥 옆 4촌
복결 대횡 1.3촌하, 임맥 옆 4촌, 복직근 외측
대횡 신궐 옆 4촌 복직근 외측
복애 대횡 3촌상, 건리 옆 4촌
식두 제5 늑간극, 임맥 옆 6촌 유근
천계 제4 늑간극, 임맥 옆 6촌 유중
흉향 제3 늑간극, 임맥 옆 6촌 응창
주영 제2 늑간극, 임맥 옆 6촌 자궁
대포 액와 6 촌하, 11늑단 높이


족양명 위경

승읍 안와하연
사백 안와하공
거료 비익하연 수평, 비순구 외측
지창 구각 외측
대영 하악각 전방, 교근의 전연
협거 하악각 전상방 1횡지, 교근 융기부
하관 협골궁 하연
두유 발제상 0.5, 신정 옆 4.5
인영 후두융기 높이, 흉쇄유돌근 전연
수돌 인영/기사 사이 흉쇄유돌근 전연

기사 쇄골내측단 상연, 흉쇄유돌근 흉골두/쇄골두 사이
결분 쇄골상와부 임맥 옆 4촌
기호 쇄골 중앙점의 하연
고방 1늑간 4촌
옥예 2늑간 4촌
응창 3늑간 4촌
유중 4늑간 4촌
유근 5늑간 4촌
불용 제상 6촌 거궐 옆 2촌
승만 제상 5촌 상완 옆 2촌
양문 제상 4촌 중완 옆 2촌
관문 제상 3촌 건리 옆 2촌
태을 제상 2촌 하완 옆 2촌
활육문 제상 1촌 수분옆 2촌
천추 제중 신궐 옆 2촌

외릉 제하 1촌 음교 옆 2촌
대거 제하 2촌 석문 옆 2촌
수도 제하 3촌 관원 옆 2촌
귀래 제하 4촌 중극 옆 2촌
기충 제하 3촌 곡골 옆 2촌

비관 봉장근 외측, 상전장골극/치골결합 연결선 하연
복토 슬개골 외측상연 6촌상, 슬개골외연/상전장골극
음시 슬개골 외측사연 3촌상
독비 슬개골 하연 슬개인대 외측
족삼리 독비 3촌하, 전경골릉 외측 1횡지
상거허 족삼리 3촌하
조구 상거허 2촌하
하거허 상거허 3촌하, 조구 1촌하
풍륭 외과 8촌상, 조구 외측 1횡지
해계 족배과절절횡문 중앙, 장무지신근건/장지신근건 사이, 외과 수평
충양 제2,3 중족골 설상골 사이
함곡 제2,3 중족골 결합부 앞
내정 제2,3 지봉간
여태 제2지 외측

수양명 대장경

상양 식지요측
이간 제2 중수지절관절 소두 전
삼간 제2 중수지절관절 소두 후
합곡 제1,2 중수골 사이
양계 단/장무지신근건 사이
편력 양계 3촌상
온류 양계 5촌상
하렴 곡지 4촌하 2/3
상렴 곡지 3촌하 3/4
수삼리 곡지 2촌하 5/6
곡지 주횡문 외단
주료 상완골 내측, 비스듬히 외측 1촌
수오리 곡지 3촌상
비노 곡지 7촌상

견우 견봉 앞 상각근 상부
거골 쇄골견봉단, 견갑근 사이
천정 부돌 1촌하, 흉쇄유돌근 후연
구화료 비공외연 하, 수구 옆 5푼
영향 비익외연 높이, 비순구(팔자주름)

수태음 폐경

중부 1늑간 6촌
운문 쇄골외단 하 6촌
천부 액와횡문두 3촌하
협백 액와횡문두 4촌하

척택 상완이두근건 요측
공최 완횡문 7촌상
열결 요골 결상돌기
경거 완횡문 1촌상
태연 요골동맥 요측
소상 무지요측

한의학 정리


동의학 과외

질병의 근본원인 : 음양의 실조
수화: 음양의 징조(성질)
좌우: 음양의 도로
내외: 음양의 표지

의존 – 호근호용
대립 – 대립제약
소장평형
전화
연화 – 삼양(태양/양다), 이양(양명/양극), 일양(소양/양소)
삼음(태음/음다), 이음(소음/음소), 일음(궐음/음쇠)

음중지양 – 후반야, 일출 봄 동
양중지양 – 상오, 정오, 오전 여름 남
양중지음 – 하오, 일몰, 오후 가을 서
음중지음 – 전반야, 자정 겨울 북


양편성 : 실열 또는 음병 – 청열사화
음편성 : 실한 또는 양병 – 거한, 산한
양편쇠 : 허한증 (외한) – 보양법
음편쇠 : 허열증 (내한) – 자음법

기초 진단

침색/부색 : /
청색/탁색 : /
엷은색/두터운색 : /
퍼진색/집중된색 : /
윤색/건색 : 좋은예후 / 나쁜예후

모발탈락 – 혈허
갑자기 모발이 뭉텅이로 빠지면 – 혈허수풍
조기에 백발이 된다면 – 신정허
모발이 거칠고 잘 갈라진다면 – 폐기허
모발의 두께와 광태 - 폐와 관련

면색이 청 혹 녹색 – 이한, , 어혈, 경풍, 간병
면색이 흑색 – 신허, 어혈,
검으면서 윤하면 – 한
건조하며 탄것 같으면 – 열

면색이 황색 – 비허,
밝은 오랜지색 - 양황 습<
흐릿하고 그을은 황색 - 음황 습>
시들하고 건조한 황색 – 비위허
누르스름한 황색 – 비위허
흐릿하고 창백한 황색 – 비위한습
면색이 담황하며 붉은 반점 - 비허+간혈체
양 눈썹 사이가 청윤한 황색 - 비위병이 있던자가 위기 회복
양 눈썹 사이가 건조하고 시들한 황색 - 나쁜 예후

면색이 창백하며 청색 – 음한내성, 완복극통
앞 이마 중간이 청색 – 심장Shock

면색이 백색 – 기허, 혈허, 양허, 실혈,
흐릿하고 창백한 백색 – 혈허
밝은 백색/광백 – 양허

면색이 홍색 – 실열, 허열, 대양증
면색이 담백색 소수 – 혈허
면색이 광백색 부종 – 양허

열이 나던 아이가 얼굴/입술이 청자색 – 경풍
면색이 담흑이며 허리와 발이 차다면 – 신양허
피부가 비늘처럼 일어나며 면색이 흑 – 어혈구류
비만한 자가 정신이 부진 – 기허담습성
소수한 자가 피부에 윤기가 없음 – 음혀, 혈허
몸이 극도로 마른다면 – 신정쇄갈
턱이 매우 짧다면 – 신허


눈이 붉으며 아프다 – 풍열, 간화
눈 전체가 붉고 가렵다 – 풍열
눈 전체가 붉기만 하다 – 간화, 간양상항
열감은 없고 눈에 모래가 든것 같다 – 비습
열감은 있고 눈에 모래가 든것 같다 – 간음허
시력감퇴, 안화 – 간혈허
목적종통 – 풍열, 간화
동공산대 – 신음허, 중독, 위중한 상태
백청이 노랗다 – 황달
눈 내/외자에 궤란 – 습열
목청상시, 사시 – 간풍
공막이 붉다 – 실열, 폐열
눈에 기륜부위가 자색 – 간풍
백청이 혼탁 – 습
안압을 느낌 – 신음허
광선기피증 – 간혈허
눈이 붉고, 자통, 두통 - 심경의 화
돌출한 눈 (갑상선기능항진) – 담열
밝은 빛을 피함 – 실증
목 내/외자가 창백 – 혈허
목 내/외자가 홍색 – 심화
눈의 하검이 부엇다면 – 신허, 노인



탁하고 누런 콧물 – 외감풍열
맑고 깨끗한 콧물 – 외감풍한
누런 콧물, 비린내 – 비연
비익선동 – 폐열옹성
비첨이 청/녹색 – 복통
비첨이 황색 – 습열
비첨이 백색 – 기/혈허
비첨이 적색 - /비 열
비첨이 회색 - 수水의 운행실상
하얀코에 빛이 난다면 - 장에 식체
붉고 부운 주사비 - 비위에 습열, 어혈
건조하며 흑색의 코 – 화독
약간 습윤한 코 - 심한질별이 아님



부은 귀 – 실증
얇은 귀 – 기/혈허
이륜이 검으며 바싹 말랐다면 – 신정고갈
귀에서 고름 – 간담습열
건조, 시들하며 흑색의 이수 – 신기고갈
귀가 백색 – 한증
귀가 청/흑색 – 통
귀가 적색 – 열,
귀가 흑색은 – 水고갈
귀가 붓고 아프다 - 소양경의 담화


치흔, 치아

치아 - 신 관련
치흔 – 위
잇몸이 담백/창백 – 혈허
잇몸이 붉고 부었다 – 위화
잇몸이 붉고 부었고 피가 난다 – 위화상락
잇몸이 붉고 부었고 피가 나지만 통증은 없다 – 허열
건조한 치아 – 신음허/진액고갈
건조하며 마른 뼈와 같은 치아 - 신음허로 허열
돌같이 마르고 빛나는 치아 – 양명열성


, 입술

입술이 담홍하며 습윤 – 정상
입술이 담백/창백 – 혈허/양허
입술이 진한 홍색이며 건조하다 – 열성(비위열)
입술이 청자색 – 한, 어혈
아관긴폐 – 중풍실증
삐쭐어진 입 – 풍
입을 열고 다물지 못한다면 – 대허
떨리는 입술 – 풍, 비약
입으로만 숨을 쉰다면 – 폐기허
입주위가 녹색 – 간혈어, 간기범비


인후

인후가 붉고 붓고 아프다면 – 풍열, 위화
인후가 붉고 붓고 염증이며 황백색의 섞은점이 있다 – 폐위열독성
인후가 그리 붉지 않고 통증도 심하지 않으나 건조, 따끔거림 – 신음허
인후가 색이 선명하며 통증도 심하지 않으나 건조, 따끔거림 – 신허화
인후에 회백색의 가막이 있고 비벼도 벗겨지지 않으면 출혈 - 폐열상음


사지부위

손톱이 창백 – 혈허
손톱이 청새 – 혈어

대어제의 융기/함몰 – 위
대에저의 낙맥이 청색 – 위한
대어제의 낙맥이 짧으며 청색 – 허증
대어제의 낙맥이 적색 – 위열

소아의 식지 낙맥 - 2세 이하
소아의 식지낙맥 풍관 – 정상, 사기 천, 병이 경하다
소아의 식지낙맥 기관 – 사기입, 장부로 입중
소아의 식지낙맥 명관 - 병이 중하다, 장부로 입
소아의 식지낙맥 선홍색 – 정상, 외감
소아의 식지낙맥이 담 – 혈허
소아의 식지낙맥 심/자홍 – 고열
소아의 식지낙맥이 굵다 – 열사/실증
소아의 식지낙맥이 가늘다 – 한증/허증


피부

청색 – 통
흑색 – 비
황적색 – 열
백색 – 한

건조한 피부 – 간혈허
가려운 피부 – 풍
누를 때 손자국 – 수종, 진부종, 음수, 신양허
누를 때 손자국이 없으면 – 기종, 가부종, 기부종, 기체, 양수
황색 피부 – 황달
밝고 맑은 황색 – 양황/습열
탁한 황색 – 음황/한습
슬와부의 소정맥이 적색 – 열, 녹색 – 통, 청색 – 한, 자색 – 혈어


듣기, 냄새

갑작스러운 실음 – 표풍열사
점차적 실음 – 폐기허/폐음허
버터썩는 냄새 – 간
타는 냄새 – 심
달은 냄새 – 비
악취/비린내 – 폐
부패/썩은내 – 신

섬어 - 열이 심신 교란, 실증
정성 – 심허
마른 기침, /무담, 난이객출, 담중대혈 – 폐음허, 폐조
악취가 난다면 – 실열
냄새가 약하거나 없다면 – 허한
썩은 시큼한 맛/애부탄산 – 식적
입에서 냄새 – 위화
입이 짜다 – 신허/신음허
입이 맵다 – 폐열


,

한열왕래 – 소양, 간담병, 학질
양명조열 – 음허, 습열, 오후 3-5
음허조열 – 오후, 야간에 열이 나면
습열조열 - 계속적 조열, 오후에 심함

성인이 밤중에 발열 – 음허
소아가 밤중에 발열 – 식체
일정한 미열 – 습열



낮에 땀 – 기허, 양허
밤에 땀 – 음허, 습열
차가운 땀이 비오듯 – 망양
전신에 기름같은 땀이 난다면 – 망음
이마에 기름같은 땀이 난다면 – 망양
팔 다리에만 땀 – 비위허
손에만 땀 – 폐기허, 신경성
몸 전체에 땀 – 폐기허
손바닥, 발바닥, 흉부에 땀 – 음허
수족심 한출 - 비위와 관련


음식

식소, 납매 – 비위허약, 비위기체
소곡선기 – 위화
배는 고프지만 먹으려 하지 않으면 – 위음허

갈증, 찬물을 많이 마심 – 실열
갈증, 전혀 마시고 싶지 않다 – 음허/어혈
갈증, 가글하고 뱉어 버린다 – 습열/담음
갈증, 더운 물을 마신다 – 중기하함, 사역탕증

입이 쓰다 – 간담화, 심화
입이 달고 끈적 – 비위습열
입에 신맛 – 식체, 간위불화
구담무미 – 비허
구토물이 청하고 냄새가 없다 – 한
식후에 바로 토한다 – 열
구토물에 시큼한 냄새가 난다 – 간기범위
황녹색의 쓴물을 토한다 – 간담습열

식후에 통증이 증가 – 실증
식후에 통증이 감소 – 허증
식후에 피곤함이 증가 – 허증/기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