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정리


동의학 과외

질병의 근본원인 : 음양의 실조
수화: 음양의 징조(성질)
좌우: 음양의 도로
내외: 음양의 표지

의존 – 호근호용
대립 – 대립제약
소장평형
전화
연화 – 삼양(태양/양다), 이양(양명/양극), 일양(소양/양소)
삼음(태음/음다), 이음(소음/음소), 일음(궐음/음쇠)

음중지양 – 후반야, 일출 봄 동
양중지양 – 상오, 정오, 오전 여름 남
양중지음 – 하오, 일몰, 오후 가을 서
음중지음 – 전반야, 자정 겨울 북


양편성 : 실열 또는 음병 – 청열사화
음편성 : 실한 또는 양병 – 거한, 산한
양편쇠 : 허한증 (외한) – 보양법
음편쇠 : 허열증 (내한) – 자음법

기초 진단

침색/부색 : /
청색/탁색 : /
엷은색/두터운색 : /
퍼진색/집중된색 : /
윤색/건색 : 좋은예후 / 나쁜예후

모발탈락 – 혈허
갑자기 모발이 뭉텅이로 빠지면 – 혈허수풍
조기에 백발이 된다면 – 신정허
모발이 거칠고 잘 갈라진다면 – 폐기허
모발의 두께와 광태 - 폐와 관련

면색이 청 혹 녹색 – 이한, , 어혈, 경풍, 간병
면색이 흑색 – 신허, 어혈,
검으면서 윤하면 – 한
건조하며 탄것 같으면 – 열

면색이 황색 – 비허,
밝은 오랜지색 - 양황 습<
흐릿하고 그을은 황색 - 음황 습>
시들하고 건조한 황색 – 비위허
누르스름한 황색 – 비위허
흐릿하고 창백한 황색 – 비위한습
면색이 담황하며 붉은 반점 - 비허+간혈체
양 눈썹 사이가 청윤한 황색 - 비위병이 있던자가 위기 회복
양 눈썹 사이가 건조하고 시들한 황색 - 나쁜 예후

면색이 창백하며 청색 – 음한내성, 완복극통
앞 이마 중간이 청색 – 심장Shock

면색이 백색 – 기허, 혈허, 양허, 실혈,
흐릿하고 창백한 백색 – 혈허
밝은 백색/광백 – 양허

면색이 홍색 – 실열, 허열, 대양증
면색이 담백색 소수 – 혈허
면색이 광백색 부종 – 양허

열이 나던 아이가 얼굴/입술이 청자색 – 경풍
면색이 담흑이며 허리와 발이 차다면 – 신양허
피부가 비늘처럼 일어나며 면색이 흑 – 어혈구류
비만한 자가 정신이 부진 – 기허담습성
소수한 자가 피부에 윤기가 없음 – 음혀, 혈허
몸이 극도로 마른다면 – 신정쇄갈
턱이 매우 짧다면 – 신허


눈이 붉으며 아프다 – 풍열, 간화
눈 전체가 붉고 가렵다 – 풍열
눈 전체가 붉기만 하다 – 간화, 간양상항
열감은 없고 눈에 모래가 든것 같다 – 비습
열감은 있고 눈에 모래가 든것 같다 – 간음허
시력감퇴, 안화 – 간혈허
목적종통 – 풍열, 간화
동공산대 – 신음허, 중독, 위중한 상태
백청이 노랗다 – 황달
눈 내/외자에 궤란 – 습열
목청상시, 사시 – 간풍
공막이 붉다 – 실열, 폐열
눈에 기륜부위가 자색 – 간풍
백청이 혼탁 – 습
안압을 느낌 – 신음허
광선기피증 – 간혈허
눈이 붉고, 자통, 두통 - 심경의 화
돌출한 눈 (갑상선기능항진) – 담열
밝은 빛을 피함 – 실증
목 내/외자가 창백 – 혈허
목 내/외자가 홍색 – 심화
눈의 하검이 부엇다면 – 신허, 노인



탁하고 누런 콧물 – 외감풍열
맑고 깨끗한 콧물 – 외감풍한
누런 콧물, 비린내 – 비연
비익선동 – 폐열옹성
비첨이 청/녹색 – 복통
비첨이 황색 – 습열
비첨이 백색 – 기/혈허
비첨이 적색 - /비 열
비첨이 회색 - 수水의 운행실상
하얀코에 빛이 난다면 - 장에 식체
붉고 부운 주사비 - 비위에 습열, 어혈
건조하며 흑색의 코 – 화독
약간 습윤한 코 - 심한질별이 아님



부은 귀 – 실증
얇은 귀 – 기/혈허
이륜이 검으며 바싹 말랐다면 – 신정고갈
귀에서 고름 – 간담습열
건조, 시들하며 흑색의 이수 – 신기고갈
귀가 백색 – 한증
귀가 청/흑색 – 통
귀가 적색 – 열,
귀가 흑색은 – 水고갈
귀가 붓고 아프다 - 소양경의 담화


치흔, 치아

치아 - 신 관련
치흔 – 위
잇몸이 담백/창백 – 혈허
잇몸이 붉고 부었다 – 위화
잇몸이 붉고 부었고 피가 난다 – 위화상락
잇몸이 붉고 부었고 피가 나지만 통증은 없다 – 허열
건조한 치아 – 신음허/진액고갈
건조하며 마른 뼈와 같은 치아 - 신음허로 허열
돌같이 마르고 빛나는 치아 – 양명열성


, 입술

입술이 담홍하며 습윤 – 정상
입술이 담백/창백 – 혈허/양허
입술이 진한 홍색이며 건조하다 – 열성(비위열)
입술이 청자색 – 한, 어혈
아관긴폐 – 중풍실증
삐쭐어진 입 – 풍
입을 열고 다물지 못한다면 – 대허
떨리는 입술 – 풍, 비약
입으로만 숨을 쉰다면 – 폐기허
입주위가 녹색 – 간혈어, 간기범비


인후

인후가 붉고 붓고 아프다면 – 풍열, 위화
인후가 붉고 붓고 염증이며 황백색의 섞은점이 있다 – 폐위열독성
인후가 그리 붉지 않고 통증도 심하지 않으나 건조, 따끔거림 – 신음허
인후가 색이 선명하며 통증도 심하지 않으나 건조, 따끔거림 – 신허화
인후에 회백색의 가막이 있고 비벼도 벗겨지지 않으면 출혈 - 폐열상음


사지부위

손톱이 창백 – 혈허
손톱이 청새 – 혈어

대어제의 융기/함몰 – 위
대에저의 낙맥이 청색 – 위한
대어제의 낙맥이 짧으며 청색 – 허증
대어제의 낙맥이 적색 – 위열

소아의 식지 낙맥 - 2세 이하
소아의 식지낙맥 풍관 – 정상, 사기 천, 병이 경하다
소아의 식지낙맥 기관 – 사기입, 장부로 입중
소아의 식지낙맥 명관 - 병이 중하다, 장부로 입
소아의 식지낙맥 선홍색 – 정상, 외감
소아의 식지낙맥이 담 – 혈허
소아의 식지낙맥 심/자홍 – 고열
소아의 식지낙맥이 굵다 – 열사/실증
소아의 식지낙맥이 가늘다 – 한증/허증


피부

청색 – 통
흑색 – 비
황적색 – 열
백색 – 한

건조한 피부 – 간혈허
가려운 피부 – 풍
누를 때 손자국 – 수종, 진부종, 음수, 신양허
누를 때 손자국이 없으면 – 기종, 가부종, 기부종, 기체, 양수
황색 피부 – 황달
밝고 맑은 황색 – 양황/습열
탁한 황색 – 음황/한습
슬와부의 소정맥이 적색 – 열, 녹색 – 통, 청색 – 한, 자색 – 혈어


듣기, 냄새

갑작스러운 실음 – 표풍열사
점차적 실음 – 폐기허/폐음허
버터썩는 냄새 – 간
타는 냄새 – 심
달은 냄새 – 비
악취/비린내 – 폐
부패/썩은내 – 신

섬어 - 열이 심신 교란, 실증
정성 – 심허
마른 기침, /무담, 난이객출, 담중대혈 – 폐음허, 폐조
악취가 난다면 – 실열
냄새가 약하거나 없다면 – 허한
썩은 시큼한 맛/애부탄산 – 식적
입에서 냄새 – 위화
입이 짜다 – 신허/신음허
입이 맵다 – 폐열


,

한열왕래 – 소양, 간담병, 학질
양명조열 – 음허, 습열, 오후 3-5
음허조열 – 오후, 야간에 열이 나면
습열조열 - 계속적 조열, 오후에 심함

성인이 밤중에 발열 – 음허
소아가 밤중에 발열 – 식체
일정한 미열 – 습열



낮에 땀 – 기허, 양허
밤에 땀 – 음허, 습열
차가운 땀이 비오듯 – 망양
전신에 기름같은 땀이 난다면 – 망음
이마에 기름같은 땀이 난다면 – 망양
팔 다리에만 땀 – 비위허
손에만 땀 – 폐기허, 신경성
몸 전체에 땀 – 폐기허
손바닥, 발바닥, 흉부에 땀 – 음허
수족심 한출 - 비위와 관련


음식

식소, 납매 – 비위허약, 비위기체
소곡선기 – 위화
배는 고프지만 먹으려 하지 않으면 – 위음허

갈증, 찬물을 많이 마심 – 실열
갈증, 전혀 마시고 싶지 않다 – 음허/어혈
갈증, 가글하고 뱉어 버린다 – 습열/담음
갈증, 더운 물을 마신다 – 중기하함, 사역탕증

입이 쓰다 – 간담화, 심화
입이 달고 끈적 – 비위습열
입에 신맛 – 식체, 간위불화
구담무미 – 비허
구토물이 청하고 냄새가 없다 – 한
식후에 바로 토한다 – 열
구토물에 시큼한 냄새가 난다 – 간기범위
황녹색의 쓴물을 토한다 – 간담습열

식후에 통증이 증가 – 실증
식후에 통증이 감소 – 허증
식후에 피곤함이 증가 – 허증/기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