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기초 / 한방진단
1. 한의학에서 진찰법중 4진이란? 4
1) 신색형태 2) 형색기미
3) 맥안복편 4) 망문문절
2. 문(聞)진에서 감별하는 것은? 2
1) 음성, 배출물 2) 소리, 냄새
3) 음성, 동작 4) 소리, 언어
3. 다음중 외감한습 및 담습에서 나타나는 설태는? 3
1)백박태 2)백건태 3)백니태 4)백후태
4. 다음 중 외감풍한, 양허에서 나타나는 설태는? 1
1)백박태 2)백건태 3)백니태 4)백후태
5. 다음 중 열성상진, 신정휴손 음허화왕에 나타나는 설질은? 3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6. 다음중 만성병으로 인한 위음과 신음의 고갈상태에서 나타나는 설질은? 4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7. 다음 기허 양허 담습정체로 나타나는 설질은? 1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8. 다음 중 기혈부족이나 음허화왕에서 나타나는 설질은? 2
1)열문설 2)수박설 3)치흔 4)망자설
9. 심계 실면 다몽 오심번열 도한 등 증상에 설상은? 2
1) 설담태백 2) 설홍소태
3) 설건무태 4) 설홍황태
10. 설변에 어반이 있는 설질의 주요 장부 병기는? 2
1)간담병 2)심병 3)비위병 4)폐병
11. 중풍의 설태는? 2
1) 설위 2) 설강 3) 설단 4) 설장
12. 면색은 주로 무엇을 반영하는가? 4
1) 기 2) 혈 3) 정신 4) 이상모두
13. 눈의 백정은 어디에 속하나? 4
1) 간 2) 신 3) 비 4) 폐
14. 눈의 흑정은 어디에 속하나? 1
1) 간 2) 신 3) 비 4) 폐
15. 눈의 안검은 어디에 속하나? 3
1) 간 2) 신 3) 비 4) 폐
16. 혀의 중심은 어디에 속하나? 2
1) 신 2) 비위 3) 심폐 4) 간담
17. 다음 중 설근에 흑태가 있으면? 3
1) 위의 실화 2) 간의 어혈
3) 신허수범 4) 심폐상염
18. 발열 중 이증의 실열은 어떤 형태의 열인가? 2
1) 장기저열 2) 장열 3) 조열 4) 오한발열
19. 발열 중 표증의 상한의 열증은? 4
1) 장기저열 2) 장열 3) 조열 4) 오한발열
20. 다음 중 망양증에서 흘리는 땀은? 3
1) 자한 2) 도한 3) 대한 4) 전한
21. 다음 중 부인병 4대 분류로 맞는것은? 4
1) 망문문절 2) 신색형태
3) 형색기미 4) 경태태산
22. 월경의 양이 적으면서 항상 후기인 경우? 4
1) 기허 2) 양허 3) 혈열 4) 혈허
23. 몸은 뜨거운데 손발이 찬 증상은? 1
1) 열궐증 2) 양허음성
3) 한궐증 4) 음극사양
24. 다음 중 습증의 기혈부족에서 나타나는 맥상은? 2
1) 활맥 2) 유맥 3) 삽맥 4) 긴맥
25. 우수 관맥이 약하면? 2
1) 간허 2) 비허 3) 심허 4) 신허
26. 다음 중 홍맥의 병증은? 1
1) 열성 2) 한성 3) 어혈 4) 허열
27. 실혈, 진액소모 병증의 맥상은? 4
1) 결맥 2) 대맥 3) 현맥 4) 규맥
28. 오후미열, 뺨이 붉고 오심번열, 도한자의 맥상은? 2
1) 현맥 2) 세맥 3) 부맥 4) 침맥
29. 표허증의 맥상은? 4
1) 부삭맥 2) 부긴맥 3) 침지맥 4) 부완맥
30. 좌수 촌맥이 약하면? 3
1) 간허 2) 비허 3) 심허 4 ) 신허
31. 삽맥은 다음 중 어느 증상에서 나오는가? 4
1) 기체 2) 혈어 3) 정혈부족 4) 이상모두
32. 표증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은? 2
1) 외사의 직중 2) 육음침습
3) 노권상 4) 내상
33. 표증을 나타내는 대표증상은? 2
1) 불오한반오열 2) 오한발열
3) 단한불열 4) 단열불한
34. 표증에서 오한과 발열이 모두 중한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1) 사 정 모두 성하다
2) 사 정 모두 허하다
3) 사는 성한데 정은 쇠하다
4) 정이 성하여 사가 물러났다
35. 망양증의 한출은? 1
1) 한출이지냉 2) 한다이장열
3) 한출이부온 4) 한출이오풍
36. 수족궐냉, 맥침삭유력, 번갈희냉음, 변건뇨적, 설홍, 태황건의 증상은? 2
1) 양허 2) 진열가한 3) 음허 4) 진한가열
37. 신열면적, 구갈 증세가 있으면서 옷을 입으려고 하고 구갈희열음, 맥대무력의 증상은? 2
1) 상한하열 2) 진한가열
3) 진열가한 4) 상열하한
38. 소복부에 딱딱한 형체가 있고 움직이지 않고 일정부위에 통증이 있는 덩어리는? 4
1) 복만 2) 기창 3) 장옹 4) 적
39. 다음 중 양성지맥이 아닌 맥은? 4
1) 부맥 2) 삭맥 3) 활맥 4) 삽맥
40. 다음 중 골위 ( 骨痿 )의 병인이 아닌것은? 3
1) 열사 2) 과로로 인한 신정허약 3) 한사 4) 명문상화망동
41. 월경선기, 월경양 과다, 심하면 붕루가 나타나는 병인이 아닌것은? 2
1) 혈열 2)혈어
3)간의 소설기능과도 4)기허
42. 묽은 대하가 계속해서 흐른다면 주요 병기는? 4
1) 포궁의 기능 문란 2) 간신의 허약
3) 심화 항성 4) 비양허약
43. 방광의 병기 중 유뇨, 소변실금의 증상은 그 원인이 무엇인가? 3
1) 한습 2) 습열
3) 신허로 인한 봉장, 고섭기능실조
4) 방광의 기화기능불리
44. 치창의 주요 원인이 아닌것은? 4
1) 변비, 다산
2) 무절제한 음식 및 실랄 후미한 음식
3) 항문부근의 어혈및 습열하주
4) 오랫동안 설사
45. 환자가 식후에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있다가 구토와 설사가 번갈아 나타나고 소변이 황적색으로 변하고 배뇨시 작열감이 있다고 한다. 어느장부의 병증인가? 1
1) 소장 2) 대장 3) 방광 4) 비위
46. 위중조잡, 소곡선기, 갈증, 변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 증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3
1) 위음허 2) 위기허 3) 위열 4) 대장실열
47. 담의 병리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것은? 2
1) 한열왕래 2) 심번 3) 구고 4) 협통
48. 어느 골격이 왜소한 여자분, 어릴때는 생장발육이 더디고 월경이 늦게 시작했는데, 나이 먹어서는 늙어가는 것은 빠르다고 하면서 건망증도 심해졌다고 한다, 한의학적 병기는 무엇인가? 4
1) 신의 음양실조 2) 신기불고
3) 혈허 4) 신정휴허
49. 몸이 야위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뺨이 붉어지고, 밤에 자면서 땀이 나며 가슴에 열이 난다고 한다. 상기환자의 맥상과 설상은? 2
1) 설강황태 2) 설홍소태
3) 설담태백 4) 설홍니태
환자가 심계, 불면증,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1)
1 금(金)이 심(心)을 친 것이다.
2 심(心)이 금(金)을 친 것이다.
3 목(木)이 비(脾)를 친 것이다.
4 심(心)과 신(腎)이 조화하지 못한 것이다.
다음 중 상생성 (homeostasis)에 관한 설명 중옳지 않은 것은? (1)
1 보(輔)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원칙이다.
2 보(輔)와 사(捨)가 필요하다.
3 음양은 대립(對立), 의존(依存), 소장(消長), 전화(轉化)한다.
4 오행은 상생(相生) 상극(相剋)을 통하여 상생성을 유지한다.
위기(衛氣)가 밤에 운행하는 순서는 ? (2)
1 간 심 비 폐 신
2 신 심 폐 간 비
3 신 폐 비 심 간
4 간 비 신 심 폐
더울 때 땀을 흘리고 추울 때 몸을 떤다. (3)
1 대립(對立)
2 의존(依存)
3 소장(消長)
4 전화(轉化)
장기간의 과로는 신체 에너지의 결핍(陰虛)를 유발할 수 있다. (4)
1 대립(對立)
2 의존(依存)
3 소장(消長)
4 전화(轉化)
다음 중 목(木)이 아닌 것은? (2)
1 간(肝)
2 습(濕)
3 풍(風)
4 청(청)
오행의 원칙에 입각해서 내가 약할 때 할 수 있는일이 아닌 것은 ? (3)
1 어머니를 보(輔)한다
2 할머니를 사(捨)한다.
3 아들을 보(輔)한다.
4 어머니의 근본을 보(輔)한다.
깊은 생각 또는 걱정 할 때 나타나는 기(기)의 현상은 ? (3)
1 기(氣)의 상승
2 기(氣)의 하강
3 기(氣)의 정체
4 기(氣)의 산란
저술로서 “본초강목”과 “기경팔맥고”를 남겼으며 1900여 가지의 약재를 집대성한 사람은? (1)
1 이시진
2 장중경
3 엽천사
4 왕숙화
양중음(陽中陰)을 나타내는 맥(脈)은? (3)
1 부맥(浮脈)
2 침맥(沈脈)
3 홍맥(洪脈)
4 활맥(滑脈)
“휴식이 없는 지속적인 과로는 신체에너지의 결핍을 유발하여 팔강을 변화하게 한다” 이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을 의미하는가? (4)
1 음양대립
2 음양의존
3 음양소장
4 음양전화
음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은? (3)
1 음양대립
2 음양의존
3 음양소장
4 음양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