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이론 연습문제

한의학 기초 / 한방진단
1. 한의학에서 진찰법중 4진이란? 4 
1) 신색형태         2) 형색기미 
3) 맥안복편         4) 망문문절

2. 문(聞)진에서 감별하는 것은? 2
1) 음성, 배출물       2) 소리, 냄새
3) 음성, 동작          4) 소리, 언어

3. 다음중 외감한습 및 담습에서 나타나는 설태는? 3
1)백박태    2)백건태    3)백니태    4)백후태


4. 다음 중 외감풍한, 양허에서 나타나는 설태는? 1
1)백박태    2)백건태    3)백니태    4)백후태

5. 다음 중 열성상진, 신정휴손 음허화왕에 나타나는 설질은? 3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6. 다음중 만성병으로 인한 위음과 신음의 고갈상태에서 나타나는 설질은? 4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7. 다음 기허 양허 담습정체로 나타나는 설질은? 1
1)반대설    2)망자설    3)열문설    4)광활설

8. 다음 중 기혈부족이나 음허화왕에서 나타나는 설질은? 2
1)열문설    2)수박설    3)치흔    4)망자설

9. 심계 실면 다몽 오심번열 도한 등 증상에 설상은? 2
1) 설담태백       2) 설홍소태     
3) 설건무태       4) 설홍황태

10. 설변에 어반이 있는 설질의 주요 장부 병기는? 2
1)간담병    2)심병    3)비위병    4)폐병

11. 중풍의 설태는? 2
1) 설위   2) 설강   3) 설단   4) 설장

12. 면색은 주로 무엇을 반영하는가? 4
1) 기    2) 혈    3) 정신    4) 이상모두

13. 눈의 백정은 어디에 속하나? 4
1) 간     2) 신     3) 비     4) 폐

14. 눈의 흑정은 어디에 속하나? 1
1) 간     2) 신     3) 비     4) 폐

15. 눈의 안검은 어디에 속하나? 3
1) 간     2) 신     3) 비     4) 폐


16. 혀의 중심은 어디에 속하나? 2
1) 신     2) 비위    3) 심폐    4) 간담

17. 다음 중 설근에 흑태가 있으면? 3
1) 위의 실화        2) 간의 어혈 
3) 신허수범         4) 심폐상염

18. 발열 중 이증의 실열은 어떤 형태의 열인가? 2
1) 장기저열   2) 장열   3) 조열   4) 오한발열

19. 발열 중 표증의 상한의 열증은? 4
1) 장기저열   2) 장열   3) 조열   4) 오한발열

20. 다음 중 망양증에서 흘리는 땀은? 3
1) 자한    2) 도한    3) 대한    4) 전한

21. 다음 중 부인병 4대 분류로 맞는것은? 4
1) 망문문절        2) 신색형태 
3) 형색기미        4) 경태태산 

22. 월경의 양이 적으면서 항상 후기인 경우? 4
1) 기허     2) 양허    3) 혈열    4) 혈허

23. 몸은 뜨거운데 손발이 찬 증상은? 1
1) 열궐증         2) 양허음성 
3) 한궐증         4) 음극사양

24. 다음 중 습증의 기혈부족에서 나타나는 맥상은? 2
1) 활맥    2) 유맥    3) 삽맥    4) 긴맥

25. 우수 관맥이 약하면? 2
1) 간허    2) 비허    3) 심허    4) 신허

26. 다음 중 홍맥의 병증은? 1
1) 열성    2) 한성    3) 어혈    4) 허열

27. 실혈, 진액소모 병증의 맥상은? 4
1) 결맥    2) 대맥    3) 현맥    4) 규맥
28. 오후미열, 뺨이 붉고 오심번열, 도한자의 맥상은? 2
1) 현맥    2) 세맥    3) 부맥    4) 침맥

29. 표허증의 맥상은? 4
1) 부삭맥   2) 부긴맥   3) 침지맥   4) 부완맥

30. 좌수 촌맥이 약하면? 3
1) 간허    2) 비허    3) 심허  4  ) 신허

31. 삽맥은 다음 중 어느 증상에서 나오는가? 4
1) 기체   2) 혈어   3) 정혈부족   4) 이상모두

32. 표증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은? 2
1) 외사의 직중     2) 육음침습
3) 노권상              4) 내상

33. 표증을 나타내는 대표증상은? 2
1) 불오한반오열      2) 오한발열 
3) 단한불열             4) 단열불한

34. 표증에서 오한과 발열이 모두 중한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1) 사 정 모두 성하다
2) 사 정 모두 허하다
3) 사는 성한데 정은 쇠하다
4) 정이 성하여 사가 물러났다

35. 망양증의 한출은? 1
1) 한출이지냉        2) 한다이장열 
3) 한출이부온        4) 한출이오풍 

36. 수족궐냉, 맥침삭유력, 번갈희냉음, 변건뇨적, 설홍, 태황건의 증상은? 2
1) 양허   2) 진열가한   3) 음허   4) 진한가열

37. 신열면적, 구갈 증세가 있으면서 옷을 입으려고 하고 구갈희열음, 맥대무력의 증상은? 2
1) 상한하열          2) 진한가열 
3) 진열가한         4) 상열하한


38. 소복부에 딱딱한 형체가 있고 움직이지 않고 일정부위에 통증이 있는 덩어리는? 4
1) 복만    2) 기창    3) 장옹   4) 적

39. 다음 중 양성지맥이 아닌 맥은? 4
1) 부맥    2) 삭맥   3) 활맥    4) 삽맥

40. 다음 중 골위 ( 骨痿 )의 병인이 아닌것은? 3
1) 열사   2) 과로로 인한 신정허약   3) 한사   4) 명문상화망동

41. 월경선기, 월경양 과다, 심하면 붕루가 나타나는 병인이 아닌것은? 2
1) 혈열                                2)혈어 
3)간의 소설기능과도      4)기허

42. 묽은 대하가 계속해서 흐른다면 주요 병기는? 4
1) 포궁의 기능 문란     2) 간신의 허약
3) 심화 항성            4) 비양허약



43. 방광의 병기 중 유뇨, 소변실금의 증상은 그 원인이 무엇인가? 3
1) 한습      2) 습열 
3) 신허로 인한 봉장, 고섭기능실조 
4) 방광의 기화기능불리

44. 치창의 주요 원인이 아닌것은? 4
1) 변비, 다산 
2) 무절제한 음식 및 실랄 후미한 음식 
3) 항문부근의 어혈및 습열하주 
4) 오랫동안 설사

45. 환자가 식후에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있다가 구토와 설사가 번갈아 나타나고 소변이 황적색으로 변하고 배뇨시 작열감이 있다고 한다. 어느장부의 병증인가? 1
1) 소장    2) 대장    3) 방광    4) 비위

46. 위중조잡, 소곡선기, 갈증, 변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 증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3
1) 위음허   2) 위기허   3) 위열   4) 대장실열


47. 담의 병리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것은? 2
1) 한열왕래   2) 심번   3) 구고   4) 협통

48. 어느 골격이 왜소한 여자분, 어릴때는 생장발육이 더디고 월경이 늦게 시작했는데, 나이 먹어서는 늙어가는 것은 빠르다고 하면서 건망증도 심해졌다고 한다, 한의학적 병기는 무엇인가? 4
1) 신의 음양실조      2) 신기불고 
3) 혈허                       4) 신정휴허

49. 몸이 야위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뺨이 붉어지고, 밤에 자면서 땀이 나며 가슴에 열이 난다고 한다. 상기환자의 맥상과 설상은? 2
1) 설강황태        2) 설홍소태 
3) 설담태백        4) 설홍니태


환자가 심계, 불면증,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1)
1 금(金)이 심(心)을 친 것이다.
2 심(心)이 금(金)을 친 것이다.
3 목(木)이 비(脾)를 친 것이다.
4 심(心)과 신(腎)이 조화하지 못한 것이다.

다음 중 상생성 (homeostasis)에 관한 설명 중옳지 않은 것은?       (1)
1 보(輔)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원칙이다.
2 보(輔)와 사(捨)가 필요하다.
3 음양은 대립(對立), 의존(依存), 소장(消長), 전화(轉化)한다.
4 오행은 상생(相生) 상극(相剋)을 통하여 상생성을 유지한다.

위기(衛氣)가 밤에 운행하는 순서는 ?                             (2)
1 간  심  비  폐  신
2 신  심  폐  간  비
3 신  폐  비  심  간
4 간  비  신  심  폐


더울 때 땀을 흘리고 추울 때 몸을 떤다.                         (3)
1 대립(對立)
2 의존(依存)
3 소장(消長)
4 전화(轉化)

장기간의 과로는 신체 에너지의 결핍(陰虛)를 유발할 수 있다. (4)
1 대립(對立)
2 의존(依存)
3 소장(消長)
4 전화(轉化)

다음 중 목(木)이 아닌 것은?                       (2)
1 간(肝)
2 습(濕)
3 풍(風)
4 청(청)


오행의 원칙에 입각해서 내가 약할 때 할 수 있는일이 아닌 것은 ?       (3)
1 어머니를 보(輔)한다
2 할머니를 사(捨)한다.
3 아들을 보(輔)한다.
4 어머니의 근본을 보(輔)한다.

깊은 생각 또는 걱정 할 때 나타나는 기(기)의 현상은 ?                 (3)
1 기(氣)의 상승
2 기(氣)의 하강
3 기(氣)의 정체
4 기(氣)의 산란

저술로서 “본초강목”과 “기경팔맥고”를 남겼으며 1900여 가지의 약재를 집대성한 사람은?       (1)
1 이시진
2 장중경
3 엽천사
4 왕숙화


양중음(陽中陰)을 나타내는 맥(脈)은?             (3)
1 부맥(浮脈)
2 침맥(沈脈)
3 홍맥(洪脈)
4 활맥(滑脈)

“휴식이 없는 지속적인 과로는 신체에너지의 결핍을 유발하여 팔강을 변화하게 한다” 이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을 의미하는가?       (4)
1 음양대립
2 음양의존
3 음양소장
4 음양전화

음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은?      (3)
1 음양대립
2 음양의존
3 음양소장
4 음양전화


한방 임상 연습문제

외과 /오관과 /골상과 /부인과 / 소아과

임산부가 감기가 걸렸을 때 가능한 맥상은?2
  1. 부완맥
  2. 부활맥
  3. 부긴맥
  4. 부삭맥

임산부에 사용 할 수 있는 방제는? 2
  1. 혈부축어탕
  2. 계지복령환
  3. 소활락단
  4. 도핵승기탕

24세 여성, 생리통이 심하다고 하는데 생리의 양은 많고 색은 짙은 암적색이며 덩어리도 조금 있다고 한다. 이환자의 주된 원인은? 4
  1. 기허
  2. 기체
  3. 음허열
  4. 혈열

3일전 야외로 캠핑을 다녀온 후 손등의 피부에 습진이 생겼다. 진물이 흐르며 가렵고 붉은 반점이 있다면 가능한 맥상은? 3
  1. 부긴맥
  2. 현삭맥
  3. 홍삭백
  4. 홍허맥

어린아이가 열이 심하더니 경기를 하며 태가 황색이라면 위기영혈 변증 중 어느 단계인가? 4
  1. 위분
  2. 기분
  3. 영분
  4. 혈분

여자환자 생리에 문제가 있고 입술이 녹청하면서 안색이 창백하다면?3
  1. 혈허+기허
  2. 혈열+월경통
  3. 어혈+월경통
  4. 간울+혈열

면색이 청녹색이며 월경에 문제가 있다. 가능한 진단은? 3
  1. 신허, 월경통
  2. 혈열, 월경과다
  3. 음한, 월경통
  4. 혈허, 무월경

월경에 덩어리가 있고 월경부조가 있는 환자에게 치료할 경은? 2
  1. 독맥
  2. 임맥
  3. 음교맥
  4. 대맥

월경이 부조하고, 임신이 안되며, 호흡곤란이 있다면? 3
  1. 독맥의 병
  2. 임맥의 병
  3. 충맥의 병
  4. 대맥의 병

6개월 된 임산부, 첫 애를 유산했으며 둘째 아이는 분만후 바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주의 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방제는? 3
  1. 소활락단
  2. 혈부축어탕
  3. 계지복령환 
  4. 도핵승기탕

6개월 된 임산부, 첫 애를 유산했으며 둘째 아이는 분만후 바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주의 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방제는? 4
  1. 용담사간탕
  2. 오령산
  3. 저령탕
  4. 평위산


운동을 한 후 무릎을 야구공으로 맞아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하였다. 치료 혈은? 2
  1. 음릉천, 슬양관, 승산, 비양
  2. 양릉천, 혈해, 양구, 음릉천
  3. 양릉천, 질변, 슬관, 승부
  4. 음릉천, 학정, 거료, 현종

표증에 뜸을 할 경우 어떻게 되는가? 3
  1. 증세가 호전된다.
  2. 오한이 심하게 된다.
  3. 외감이 리로 들어가게 된다.
  4. 평소 건강한 사람에게만 사용한다.

10년간 채식주의자인 여자 환자가 인도에 다녀온 후 현재는 대변에 피가 조금 섞여있는 설사를 한다면 진단은? 3
  1. 소장 실열
  2. 대장 실열
  3. 대장 습열
  4. 비위 습열

출산 후에 기진맥진, 피로하며 사지가 차고 추워하는 환자에게 사용 할 방제는? 3
  1. 사군자탕
  2. 금궤신기환
  3. 십전대보탕
  4. 보중익기탕

소변불리, 뇨급, 소변시 작열감, 통증이 있는 환자가 음허증상을 호소 할 때 사용 할 본초와 혈은? 1
  1. 등심초 - 수도
  2. 차전자 - 수도
  3. 목통 - 수분
  4. 복령 - 기해
설사와 변비가 교대되며 협부에 통증, 복부창만감, 맥은 현한데 환자는 자신이 기생충이 있어서 그렇다고 의심한다면 진단은? 3
  1. 대장충적
  2. 간기범위
  3. 간비부조
  4. 소양병

여자환자, 아랫배에 통증이 있는데 소변을 보고나면 통증이 감소한다. 재채기나 웃을 때 맑은 소변이 조금 샌다고 한다. 20세 부터 요도염을 자주 앓아 왔다고 한다. 진단은? 1
  1. 방광허한, 간질성 방광염
  2. 방광습열, 간질성 방광염
  3. 방광습열, 발테리아성 방광염
  4. 방광한습, 박테리아성 방광염

여성환자가 월경부조가 있으며 손발은 항상 차가운데 월경 시에 덩어리가 있으며 심한 생리통을 호소한다면, 이 환자의 치법은? 2
  1. 온경
  2. 활혈
  3. 보신
  4. 이기

여성환자가 월경부조가 있으며 손발은 항상 차갑고, 월경시에 덩어리가 있다면 이 환자의 근본적인 치법이 맞는 것은? 1
  1. 온경
  2. 활혈
  3. 보신
  4. 이기

골비, 기비의 치료방법은? 3

  1. 사법, 피부침
  2. 소침다고, 심자, 유침 오래
  3. 침구병용, 온침, 피부침, 발관
  4. 구 중용

한방 진단학 연습문제


환자가 온몸이 무겁고, 머리가 무거우며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 식욕부진하며 피로하다면 진단은? 2
     1.비기허로 인한 유형의 담
     2.비기허로 인한 무형의 담
     3.폐기허로 인한 유형의 담
     4.폐기허로 인한 무형의 담

환자가 내분비 장애로 인하여 항상 피로하여 빈혈이 있고 저혈압과 저혈당이라면 환자에게 나올수 있는 얼굴은? 2
  1. 얼굴이 둥글게 된다.
  2. 얼굴이 청동색처럼 검게 된다.
  3. 코 주위가 붉게 나비모양으로 된다.
  4. 얼굴에 표정이 없는 마스크 처럼 된다.

여자환자, 야간업무를 주로 하는데 예민하여 신경을 많이 쓰였다고 한다. 최근 6개월 간 식욕이 없으며 마른 구역감이 있으며 항상 목과 인후가 건조하다고 한다면 예상퇴는 설태는? 4
  1. 설변에 홍 태박홍, 건조
  2. 설변이 홍강, 황태, 열문설
  3. 설중앙이 홍하며 황태, 건조
  4. 설중앙이 무태, 건조, 열문설

풍한감기와 풍열감기의 차이점이 맞는 것은? 3
  1. 풍한감기는 박태가 있다.
  2. 풍한감기는 갈증이 있다
  3. 풍한감기는 실통이 있다.
  4. 풍한감기는 소변이 노랗다.

환자의 설이 축축히 물기가 많으며 설색은 백색이며 맥은 침하고 현하다면 진단은? 4
  1. 비양허
  2. 망양
  3. 간혈허
  4. 한체간맥

몸에 열이 있으며 번조하며 관골부위가 붉으며 갈증이 있으나 물은 마시려 하지 않는다. 소변담백, 설담백, 습윤, 맥부허삭 진단은? 2
  1. 음허
  2. 진한가열
  3. 진열가한
  4. 표열과 리허한

가장 위험한 것은?4
  1. 낮에 열이 있고 땀이 많다.
  2. 낮에 열이 있으나 땀이 없다
  3. 밤에 열이 있고 땀이 있다.
  4. 밤에 열이 있으나 땀이 없다.

다발성경화증을 10년 동안 앓은 환자가 몸과 사지가 무겁고 발기불능이 있다면 진단은?4
  1. 비습
  2. 방광습열
  3. 비양허
  4. 신양허

다발성경화증의 할머니 환자, 소화에 문제는 없는데 오랫동안 앉아서만 지내더니 변비가 있다고 한다. 설태는 백윤태, 맥은 침지맥이라면 진단은?3
  1. 양실
  2. 음실
  3. 양허음성
  4. 음허양성

발열, 미오풍한, 두통해수, 무한 또는 소한, 미구갈, 인후종통, 설변 설첨홍, 태박백 맥부삭?3
  1. 태양경
  2. 태양경+양명경
  3. 위분
  4. 위분+기분

일주일 전에 오한발열, 인후통이 있던 환자가 침구치료 후에 좋아졌으나 아직도 가벼운 열, 피부반진이 있으며 설홍소태, 맥세삭이라면? 3
  1. 위분
  2. 기분
  3. 영분
  4. 혈분

콧대 옆의 코의 중간 양 옆이 붉게 붓고 짓무른다면? 1

소심한 50대 여성, 비만, 자녀들로부터 불평을 들은 후부터 잠에들기가 어렵다. 창백하고 판단련이 없고 설담 맥현세 진단은? 1
  1. 담허
  2. 간기울결
  3. 간혈허
  4. 심혈어

환자가 복통으로 내원, 통증은 심하지 않으며 배가 잘 고프나 그리 많이 먹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한다면 예상되는 설과 맥은? 3
  1. 설 중앙이 붉고, 태는 노랗고 건조, 맥은 실삭하다.
  2. 설 중앙이 하얗고, 태도 하얗고 촉촉, 맥은 침지하다.
  3. 설 중앙이 붉고, 태는 적고 건조, 맥은 세삭하다.
  4. 설 근위부가 약간 붉고, 태는 희고, 맥은 침세하다.

10여년을 흡연한 사람이 만성 기침과 흉민이 있는데 감기에 걸렸다. 오한발열, 흰색가래가 나오고 기침이 있었는데 3일후 노란색 콧물로 변하고 악취가 나며 호흡이 거칠어졌다. 다시 3일 후에 담을 뱉기가 어려워졌다. 진단은? 3
  1. 폐기허로 시작하여 풍한이 담열이 되고 폐에 실혈이 축적되었다.
  2. 폐음허로 시작하여 풍열이 담열이 되고 폐에 허열이 축적되었다.
  3. 폐습담으로 시작하여 풍한이 습열이 되고 폐에 조담이 축적되었다.
  4. 폐조담으로 시작하여 풍힌이 습열이 되고 폐에 열담이 축적되었다.

오한 미발열, 치통, 잇몸이 부어 피가 난다면?1
  1. 풍화
  2. 풍조
  3. 위화
  4. 대장열

남자가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면과 성욕이 항진된다면 맥은? 2
  1. 세약맥
  2. 세삭맥
  3. 현세맥
  4. 활삭맥

변비가 있는 노인 환자는 혈액검사에서 헤모글로빈 수치가 8mg/dl 이 나왔다. 심계, 현훈, 불면, 꿈 때문에 잠을 설침, 건망, 불안, 놀라길 잘함. 안색이 창백하며 어두움, 창백한 입술, 설이 창백하며 설체가 말라있고 약간 건조. 맥은 삽 하거나 세하다. 진단은? 2
  1. 기허로 인한 변비
  2. 혈허로 인한 변비
  3. 음허로 인한 변비
  4. 양허로 인한 변비

위장의 기능 중 부숙이 안되서 생기는 병증은?4
  1. 위장기체
  2. 위장어혈
  3. 위화항성
  4. 식체위완

눈이 흐리멍텅하게 보인다면(회색 구름같이 산포된 반점) 어디에 병인가? 2

변비가 있는 노인이 검사를 해보니 체온은 98도, 혈압은 115/78, 헤오글로빈은 8g/dl 이라면 가능한 진단은? 2
  1. 기허로 인한 대장건조
  2. 혈허로 인한 대장건조
  3. 음허열로 인한 대장건조
  4. 실열로 인한 대장건조

평소 목소리가 큰 건강한 70세의 노인 환자가 서서히 목소리가 작아진다며 내원했다면 진단은? 1
  1. 폐기허
  2. 폐음허
  3. 폐기허와 신정허
  4. 폐신음허

친구와 학교문제로 심한 언쟁이 있던 42세의 여자선생이 3일 동안 심한 우측 편두통이 있다고 한다. 또한 마음이 불안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이 건조하여 쓰고 잠도 잘 수가 없다고 한다. 소변은 확적하며 대변은 건조하다. 진단은? 2
  1. 간기울결과 심화
  2. 간화상염
  3. 간양상항
  4. 신음허로 인한 심화상염

환자가 얼마 전부터 팔, 다리에 기운이 없고 피로하다고 한다. 환자는 또한 눈에 모래가 든 것 같으며 열감을 느낀다면 이 환자의 맥상은? 2
  1. 양쪽 촌맥이 약하다.
  2. 양쪽 관맥이 약하다.
  3. 왼쪽 맥이 빈 듯하다.
  4. 오른쪽 맥이 빈 듯하다.

마른 기침을 자주 하는데 특히 밤에 더 심하다며 내원, 천식증도 있으며 오후 늦게 열감을 느끼며 자다가 정액과 땀이 나온다고 한다면 진단은? 4
  1. 폐기허, 신음허
  2. 폐음허, 신기불고
  3. 심신불교
  4. 폐신음허

파킨슨씨 병에 걸렸다. 예상되는 설은? 4
  1. 홍점돌기, 혀가 짧다. 홍설 무태
  2. 혀가 짧다. 강설 무태
  3. 혀가 짧다. 홍설 무태
  4. 홍점돌기, 혀가 짧다. 강설 부태

젋은 사람이 운동을 좋아하는데, 상복에 열감이 있고 속이 거북하고 답답하다. 대변 시 작열감, 탄산음료를 자주 마시며 친구들과 TV 보며 나초를 먹는다. 최근에는 요구르트와 아이스크림이 더 먹고 싶다. 진단은? 3
  1. 위화
  2. 담화
  3. 담습열
  4. 위음허

신음이 심음에 영양을 주지 못할 때 설의 특징은? 4
  1. 설홍, 설변과 설첨에 열문, 설변과 설중이 붓고, 무태
  2. 설홍, 설첨에 열문, 중심에서 바깥으로 방사되는 붓기, 박백태
  3. 설이 아주 붉고 넓은 중심에 열문, 열문을 따라 붓기, 박백태
  4. 설이 아주 붉고 깊은 중심 열문이 설첨까지 닿음, 열문을 따라 붓기, 무태

환자가 요슬산연, 양위, 손발이 차가운데 특히 발이 차다면 이 환자의 설과 맥은? 1
  1. 설반대 치은설, 맥약
  2. 설청자, 맥침
  3. 설홍, 맥침
  4. 설반대, 치은설, 맥삭
침관(부항) Cupping with acupuncture 을 이용한 치료가 적합한 환자는? 1
  1. 관절통증
  2. 고열
  3. 경련
  4. 출혈자

귀에서 호루라기 같은 소리가 크게 들린다면 가능한 병증은? 4
  1. 신음허, 간기울결, 간양상항
  2. 신음허, 간양상항, 간화상염
  3. 담기울결, 간양상항, 간화상염
  4. 간기울결, 간양상항, 간화상염

만성적인 해수, 천식, 피로 기단의 환자가 모가 자를 생하지 못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1
  1. 안검이 흑생, 소변량이 많고, 요통
  2. 안검이 적생, 구설생창에 상처, 흉통
  3. 안검이 녹색, 협부에 통증
  4. 안검이 황색, 생각이 많고, 복통

설색이 홍색이며 설이 부어 입한에 가득하다면? 3
  1. 중독 되었을 때
  2. 비신양허로 습성
  3. 심비의 열성
  4. 심간의 허열

음사가 들어와서 병이 들었다면? 2
  1. 음이 성해서 양이 부족하여 열증
  2. 음이 성해서 양이 부족하여 한증
  3. 양이 성해서 음이 부족하여 열증
  4. 양이 성해서 음이 부족하여 한증

음사가 들어오면 체내의 상태는? 1
  1. 음편성
  2. 음편쇠
  3. 양편성
  4. 양편쇠

환자가 열이 심하며 기침을 한다고 내원, 땀도 많이 흘리며 갈증이 심해 찬물을 많이 마신다고 한다면 진단은? 3
  1. 양명경증
  2. 태양 양명 합병
  3. 기분증 + 폐열
  4. 기위동병

수 주전에 오한발열, 인통으로 침 치료 후에 증상은 나아졌는데 현재 미열이 야간에 심하고, 약간의 발진, 불안 설홍, 박태라면 병이 있는 곳은? 3
  1. 위분
  2. 기분
  3. 영분
  4. 혈분

환자가 두통, 천식, 해수, 오한발열, 담다수양성, 사지부종, 무한이라면 진단은? 3
  1. 풍수범폐
  2. 담음온폐
  3. 표한 리담음
  4. 표풍한 리담습

환자가 발열, 복만, 복통, 거안, 불안, 황건태 맥침실 이라면 진단은? 2
  1. 소양
  2. 양명
  3. 태음
  4. 궐음

표, 리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3
  1. 발한, 두통
  2. 발열, 해수
  3. 오한, 비연
  4. 신통, 인후종통

표증의 외감 중 풍한과 풍열의 차이점은? 3
  1. 풍한에는 구갈이 있다.
  2. 풍한에는 소변이 밝은 노랑이다.
  3. 풍한에는 몸살이 있다. 
  4. 풍한에는 박태가 있다. 

가래는 별로 없고 기침을 하는 환자가 내원, 환자는 입이 마르고 가슴부위에 열감을 느낀다고 하며 오후엔 열이 난다고 한다. 가끔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온다면 진단은? 1
  1. 폐음허
  2. 풍열범폐
  3. 조사범폐
  4. 폐열옹성

천식환자가 비교적  큰 소리의 천식이 있는데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 더 쉽다면 가능한 진단은? 3
  1. 신불납기
  2. 폐신기허
  3. 담열옹폐
  4. 폐음허

환가가 손발이 차며 배가 아프며 설사를 한다고 한다. 항상 식사 후에 속이 좋지 않다고 한다면 육경변증 중 어느 단계인가? 2
  1. 소양병
  2. 태음병
  3. 소음병
  4. 궐음병

육경의 단게 중 한과 열이 다 있는 단계가 아닌 것은? 3
  1. 태양경증
  2. 소양경증
  3. 소음열화증
  4. 궐음증

측두통, 구고, 소변단적, 이노, 현훈, 기분의 병화가 심하다면 진단은? 2
  1. 간기울결
  2. 간화상염
  3. 담경에 풍열
  4. 간담습열

알콜 중독 환자가 얼굴이 화가 난 듯하고 얼굴과 눈동자가 붉으며 혼자 알아듣지 못하는 말을 중얼거린다면 진단은? 3
  1. 간기울결
  2. 간화상염 간풍
  3. 담화요심
  4. 심음허 간화상염

구취, 초조감, 잇몸에 출혈, 불면, 상복통 시 설은? 1
  1. 설홍 태황활
  2. 설담홍 대박황
  3. 설홍 태황니
  4. 설담홍 무태, 경면설

여자환자가 고혈압 치료를 원한다. 수축기 혈압이 150-200 이며 이완기 혈압은 95 정도이다. 주요 증상은 목에 경직감이 있고 머리에 압박감, 고동치는 듯한 정수리의 두통, 현기증, 이명, 시력이 침침하고 눈이 건조하며 자주 깨는 불면, 저녁에 열감, 관홍, 눈에 충기가 없으며 흐릿하다, 설은 홍한데 설변은 더욱 홍하며 약간 뻣뻣하며 태는 매우 박하다. 맥은 현세하다. 진단은? 3
  1. 간혈허
  2. 간신음허
  3. 간양상항
  4. 간화상염

환자가 오한과 발열이 있으며 갈증, 두통, 입에서 냄새가 나며 찬물을 많이 먹는다면 위기영혈 변증 중 어디에 속하나? 4
  1. 위분의 풍한
  2. 위분의 풍열
  3. 기분의 풍한
  4. 기분의 풍열

도한, 불면, 불안이 있던 사람이 엄마가 돌아가신 후에 호흡기단이 생겼다면 그 치법이 맞는 것은? 3
  1. 폐기를 보하고 폐음을 도운다.
  2. 신음을 보하고 비음을 도운다.
  3. 폐기를 보하고 심음을 도운다.
  4. 신음을 보하고 심을을 도운다.

환자에게 과일향의 냄새가 난다면 어느장부의 이상인가? 3

설이 백색이며, 윤태이며 맥이 침현이라면 가능한 진단은? 2
  1. 간혈어
  2. 한체간맥
  3. 담기호결
  4. 간담풍열

불면의 환자가 밤 늦게 음식을 많이 먹고 속이 더부륵하여 신트림이 자꾸 넘어온다면 불면의 원인은? 2
  1. 비기허
  2. 위기불화
  3. 간울화화
  4. 위음허

한열왕래, 구고, 목현, 인건, 식욕부진, 심번, 맥현시 설태는? 4

  1. 박황태
  2. 황니태
  3. 백니태
  4. 박백태

한의학 19 병기

諸風掉眩(제풍도현) 皆屬於肝(개속어간)
諸寒收引(제한수인) 皆屬於腎(개속어신)
諸氣膹鬱(제기분울) 皆屬於肺(개속어폐)
諸濕腫滿(제습종만) 皆屬於脾(개속어비)
諸熱瞀瘛(제열무계) 皆屬於火(개속어화)
諸痛痒瘡(제통양창) 皆屬於心(개속어심)
諸厥固泄(제궐고설) 皆屬於下(개속어하)
諸痿喘嘔(제위천구) 皆屬於上(개속어상)
諸禁鼓慄(제금고율) 如喪神守(여상신수) 皆屬於火(개속어화)
諸痙項强(제경항강) 皆屬於濕(개속어습)
諸逆衝上(제역충상) 皆屬於火(개속어화)
諸腹脹大(제복창대) 皆屬於熱(개속어열)
諸躁狂越(제조광월) 皆屬於火(개속어화) 
諸暴强直(제폭강직) 皆屬於風(개속어풍) 
諸病有聲(제병유성) 鼓之如鼓(고지여고) 皆屬於熱(개속어열)
諸病胕腫(제병부종) 疼酸驚駭(동산경해) 皆屬於火(개속어화)
諸轉反戾(제전반려) 水液渾濁(수액혼탁) 皆屬於熱(개속어열)
諸病水液(제병수액) 澄澈淸冷(징철청랭) 皆屬於寒(개속어한) 

諸嘔吐酸(제구토산) 暴注下迫(폭주하박) 皆屬於熱(개속어열)

한의학 기초 연습문제


오행관계가 틀린 것은? 3
  1. 토의 자가 목의 모를 낳아준다.
  2. 수의 모가 목의 자를 모멸한다.
  3. 화의 자가 목의 모를 낳아준다.
  4. 목의 모가 목의 자를 너무 억제한다.

뇌와 관계되는 장부는? 2
  1. 심폐
  2. 심신
  3. 간신
  4. 간폐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발이 차갑고 잘 붓던 환자가 식사 후에 배가 더부룩하며 소화가 안된다면, 오행의 관계가 맞는 것은? 2
  1. 수불생목
  2. 수모토
  3. 목승토
  4. 토승수

혈 생성에 관계하는 장부와 기의 관계가 맞게 된 것은? 3
  1. 폐 - 위기
  2. 폐 - 종기
  3. 비 - 영기
  4. 신 - 원기

오행의 조합이 맞는 것은? 2
  1. 금승과, 목극토, 화모수, 금생수
  2. 화극금, 화승금, 수모토, 토생금
  3. 토극수, 목승금, 목모금, 수생목
  4. 수극화, 수승토, 토모목, 목생화

다음 중 수면과 가장 관계가 깊은 인체의 물질은? 2
  1. 기와 혈
  2. 혈과 음
  3. 기와 음
  4. 음과 양

기혈진액 변증에서 기와 정 모두를 자양하는 것은? 1
  1. 선천의 정과 종기
  2. 후천의 정과 영기
  3. 후천의 정과 종기
  4. 선천의 정과 후천의 정

남자아이가 잦은 재채기가 있으며 소변 불리가 있다면 어느 기의 문제인가? 2
  1. 원기
  2. 종기
  3. 위기
  4. 영기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이 마라폰을 끝낸 후에 장부기능의 이상을 보인다면 어떤기의 이상을 초래하였나? 2
  1. 위기 + 영기
  2. 위기 + 원기
  3. 위기 + 종기
  4. 곡기 + 청기]

열증 환자의 금기 음식은? 1
  1. 양고기, 마늘
  2. 양고기, 미역
  3. 돼지고기, 마늘
  4. 돼지고기, 미역

음식을 부숙시키는 작용의 이상으로 소화불량, 트름, 구역은 어느 장부의 이상인가? 2
  1. 소장

비장이 좋아하는 음식은? 1
  1. 따뜻하고 건조한 음식
  2. 따뜻하고 축축한 음식
  3. 차갑고 건조한 음식
  4. 차가고 축축한 음식

공막의 병증이 있다면 어느 장부의 문제인가? 2
  1. 심, 소장
  2. 폐, 대장
  3. 비, 위
  4. 간, 담

오행의 귀속이 적당히 연결 된 것은? 3
  1. 심 - 타액
  2. 폐 - 땀
  3. 간 - 눈물
  4. 비 - 콧물

어떤 사람이 다리가 아픈데 처음에는 국소적인 부분만 아프다가 통증이 전체적으로 퍼지고 있는 것 같다고 한다면 그 원인은? 3
  1. 기허
  2. 기체
  3. 어혈

환자가 납매가 있으며 손발이 차갑고 얼굴이 백색이라면 가능한 오행의 관계는? 2
  1. 화모수
  2. 화불생토
  3. 목승토
  4. 금모화

환자가 소화가 안되며 손발이 차갑고 혀가 황색이라면 가능한 오행관계는?3 
  1. 화모수
  2. 화불생토
  3. 목승토
  4. 금모화

감정적인 문제로 시작하는 병증에서 증상이 나타나는 순서는? 3
  1. 맥에서 눈으로 다음에 혀로
  2. 맥에서 혀로 다음에 눈으로
  3. 눈에서 맥으로 다음에 혀로
  4. 눈에서 혀로 다음에 맥으로

다음 중 맞는 것은? 1

  1. 위기는 내려가며 소화액 관련
  2. 폐기는 내려가며 눈물 관련
  3. 신기는 내려가며 소화액 관련
  4. 간기는 정상이 올라가며 땀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