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진단학 연습문제


환자가 온몸이 무겁고, 머리가 무거우며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 식욕부진하며 피로하다면 진단은? 2
     1.비기허로 인한 유형의 담
     2.비기허로 인한 무형의 담
     3.폐기허로 인한 유형의 담
     4.폐기허로 인한 무형의 담

환자가 내분비 장애로 인하여 항상 피로하여 빈혈이 있고 저혈압과 저혈당이라면 환자에게 나올수 있는 얼굴은? 2
  1. 얼굴이 둥글게 된다.
  2. 얼굴이 청동색처럼 검게 된다.
  3. 코 주위가 붉게 나비모양으로 된다.
  4. 얼굴에 표정이 없는 마스크 처럼 된다.

여자환자, 야간업무를 주로 하는데 예민하여 신경을 많이 쓰였다고 한다. 최근 6개월 간 식욕이 없으며 마른 구역감이 있으며 항상 목과 인후가 건조하다고 한다면 예상퇴는 설태는? 4
  1. 설변에 홍 태박홍, 건조
  2. 설변이 홍강, 황태, 열문설
  3. 설중앙이 홍하며 황태, 건조
  4. 설중앙이 무태, 건조, 열문설

풍한감기와 풍열감기의 차이점이 맞는 것은? 3
  1. 풍한감기는 박태가 있다.
  2. 풍한감기는 갈증이 있다
  3. 풍한감기는 실통이 있다.
  4. 풍한감기는 소변이 노랗다.

환자의 설이 축축히 물기가 많으며 설색은 백색이며 맥은 침하고 현하다면 진단은? 4
  1. 비양허
  2. 망양
  3. 간혈허
  4. 한체간맥

몸에 열이 있으며 번조하며 관골부위가 붉으며 갈증이 있으나 물은 마시려 하지 않는다. 소변담백, 설담백, 습윤, 맥부허삭 진단은? 2
  1. 음허
  2. 진한가열
  3. 진열가한
  4. 표열과 리허한

가장 위험한 것은?4
  1. 낮에 열이 있고 땀이 많다.
  2. 낮에 열이 있으나 땀이 없다
  3. 밤에 열이 있고 땀이 있다.
  4. 밤에 열이 있으나 땀이 없다.

다발성경화증을 10년 동안 앓은 환자가 몸과 사지가 무겁고 발기불능이 있다면 진단은?4
  1. 비습
  2. 방광습열
  3. 비양허
  4. 신양허

다발성경화증의 할머니 환자, 소화에 문제는 없는데 오랫동안 앉아서만 지내더니 변비가 있다고 한다. 설태는 백윤태, 맥은 침지맥이라면 진단은?3
  1. 양실
  2. 음실
  3. 양허음성
  4. 음허양성

발열, 미오풍한, 두통해수, 무한 또는 소한, 미구갈, 인후종통, 설변 설첨홍, 태박백 맥부삭?3
  1. 태양경
  2. 태양경+양명경
  3. 위분
  4. 위분+기분

일주일 전에 오한발열, 인후통이 있던 환자가 침구치료 후에 좋아졌으나 아직도 가벼운 열, 피부반진이 있으며 설홍소태, 맥세삭이라면? 3
  1. 위분
  2. 기분
  3. 영분
  4. 혈분

콧대 옆의 코의 중간 양 옆이 붉게 붓고 짓무른다면? 1

소심한 50대 여성, 비만, 자녀들로부터 불평을 들은 후부터 잠에들기가 어렵다. 창백하고 판단련이 없고 설담 맥현세 진단은? 1
  1. 담허
  2. 간기울결
  3. 간혈허
  4. 심혈어

환자가 복통으로 내원, 통증은 심하지 않으며 배가 잘 고프나 그리 많이 먹지는 않는다고 한다고 한다면 예상되는 설과 맥은? 3
  1. 설 중앙이 붉고, 태는 노랗고 건조, 맥은 실삭하다.
  2. 설 중앙이 하얗고, 태도 하얗고 촉촉, 맥은 침지하다.
  3. 설 중앙이 붉고, 태는 적고 건조, 맥은 세삭하다.
  4. 설 근위부가 약간 붉고, 태는 희고, 맥은 침세하다.

10여년을 흡연한 사람이 만성 기침과 흉민이 있는데 감기에 걸렸다. 오한발열, 흰색가래가 나오고 기침이 있었는데 3일후 노란색 콧물로 변하고 악취가 나며 호흡이 거칠어졌다. 다시 3일 후에 담을 뱉기가 어려워졌다. 진단은? 3
  1. 폐기허로 시작하여 풍한이 담열이 되고 폐에 실혈이 축적되었다.
  2. 폐음허로 시작하여 풍열이 담열이 되고 폐에 허열이 축적되었다.
  3. 폐습담으로 시작하여 풍한이 습열이 되고 폐에 조담이 축적되었다.
  4. 폐조담으로 시작하여 풍힌이 습열이 되고 폐에 열담이 축적되었다.

오한 미발열, 치통, 잇몸이 부어 피가 난다면?1
  1. 풍화
  2. 풍조
  3. 위화
  4. 대장열

남자가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면과 성욕이 항진된다면 맥은? 2
  1. 세약맥
  2. 세삭맥
  3. 현세맥
  4. 활삭맥

변비가 있는 노인 환자는 혈액검사에서 헤모글로빈 수치가 8mg/dl 이 나왔다. 심계, 현훈, 불면, 꿈 때문에 잠을 설침, 건망, 불안, 놀라길 잘함. 안색이 창백하며 어두움, 창백한 입술, 설이 창백하며 설체가 말라있고 약간 건조. 맥은 삽 하거나 세하다. 진단은? 2
  1. 기허로 인한 변비
  2. 혈허로 인한 변비
  3. 음허로 인한 변비
  4. 양허로 인한 변비

위장의 기능 중 부숙이 안되서 생기는 병증은?4
  1. 위장기체
  2. 위장어혈
  3. 위화항성
  4. 식체위완

눈이 흐리멍텅하게 보인다면(회색 구름같이 산포된 반점) 어디에 병인가? 2

변비가 있는 노인이 검사를 해보니 체온은 98도, 혈압은 115/78, 헤오글로빈은 8g/dl 이라면 가능한 진단은? 2
  1. 기허로 인한 대장건조
  2. 혈허로 인한 대장건조
  3. 음허열로 인한 대장건조
  4. 실열로 인한 대장건조

평소 목소리가 큰 건강한 70세의 노인 환자가 서서히 목소리가 작아진다며 내원했다면 진단은? 1
  1. 폐기허
  2. 폐음허
  3. 폐기허와 신정허
  4. 폐신음허

친구와 학교문제로 심한 언쟁이 있던 42세의 여자선생이 3일 동안 심한 우측 편두통이 있다고 한다. 또한 마음이 불안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이 건조하여 쓰고 잠도 잘 수가 없다고 한다. 소변은 확적하며 대변은 건조하다. 진단은? 2
  1. 간기울결과 심화
  2. 간화상염
  3. 간양상항
  4. 신음허로 인한 심화상염

환자가 얼마 전부터 팔, 다리에 기운이 없고 피로하다고 한다. 환자는 또한 눈에 모래가 든 것 같으며 열감을 느낀다면 이 환자의 맥상은? 2
  1. 양쪽 촌맥이 약하다.
  2. 양쪽 관맥이 약하다.
  3. 왼쪽 맥이 빈 듯하다.
  4. 오른쪽 맥이 빈 듯하다.

마른 기침을 자주 하는데 특히 밤에 더 심하다며 내원, 천식증도 있으며 오후 늦게 열감을 느끼며 자다가 정액과 땀이 나온다고 한다면 진단은? 4
  1. 폐기허, 신음허
  2. 폐음허, 신기불고
  3. 심신불교
  4. 폐신음허

파킨슨씨 병에 걸렸다. 예상되는 설은? 4
  1. 홍점돌기, 혀가 짧다. 홍설 무태
  2. 혀가 짧다. 강설 무태
  3. 혀가 짧다. 홍설 무태
  4. 홍점돌기, 혀가 짧다. 강설 부태

젋은 사람이 운동을 좋아하는데, 상복에 열감이 있고 속이 거북하고 답답하다. 대변 시 작열감, 탄산음료를 자주 마시며 친구들과 TV 보며 나초를 먹는다. 최근에는 요구르트와 아이스크림이 더 먹고 싶다. 진단은? 3
  1. 위화
  2. 담화
  3. 담습열
  4. 위음허

신음이 심음에 영양을 주지 못할 때 설의 특징은? 4
  1. 설홍, 설변과 설첨에 열문, 설변과 설중이 붓고, 무태
  2. 설홍, 설첨에 열문, 중심에서 바깥으로 방사되는 붓기, 박백태
  3. 설이 아주 붉고 넓은 중심에 열문, 열문을 따라 붓기, 박백태
  4. 설이 아주 붉고 깊은 중심 열문이 설첨까지 닿음, 열문을 따라 붓기, 무태

환자가 요슬산연, 양위, 손발이 차가운데 특히 발이 차다면 이 환자의 설과 맥은? 1
  1. 설반대 치은설, 맥약
  2. 설청자, 맥침
  3. 설홍, 맥침
  4. 설반대, 치은설, 맥삭
침관(부항) Cupping with acupuncture 을 이용한 치료가 적합한 환자는? 1
  1. 관절통증
  2. 고열
  3. 경련
  4. 출혈자

귀에서 호루라기 같은 소리가 크게 들린다면 가능한 병증은? 4
  1. 신음허, 간기울결, 간양상항
  2. 신음허, 간양상항, 간화상염
  3. 담기울결, 간양상항, 간화상염
  4. 간기울결, 간양상항, 간화상염

만성적인 해수, 천식, 피로 기단의 환자가 모가 자를 생하지 못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1
  1. 안검이 흑생, 소변량이 많고, 요통
  2. 안검이 적생, 구설생창에 상처, 흉통
  3. 안검이 녹색, 협부에 통증
  4. 안검이 황색, 생각이 많고, 복통

설색이 홍색이며 설이 부어 입한에 가득하다면? 3
  1. 중독 되었을 때
  2. 비신양허로 습성
  3. 심비의 열성
  4. 심간의 허열

음사가 들어와서 병이 들었다면? 2
  1. 음이 성해서 양이 부족하여 열증
  2. 음이 성해서 양이 부족하여 한증
  3. 양이 성해서 음이 부족하여 열증
  4. 양이 성해서 음이 부족하여 한증

음사가 들어오면 체내의 상태는? 1
  1. 음편성
  2. 음편쇠
  3. 양편성
  4. 양편쇠

환자가 열이 심하며 기침을 한다고 내원, 땀도 많이 흘리며 갈증이 심해 찬물을 많이 마신다고 한다면 진단은? 3
  1. 양명경증
  2. 태양 양명 합병
  3. 기분증 + 폐열
  4. 기위동병

수 주전에 오한발열, 인통으로 침 치료 후에 증상은 나아졌는데 현재 미열이 야간에 심하고, 약간의 발진, 불안 설홍, 박태라면 병이 있는 곳은? 3
  1. 위분
  2. 기분
  3. 영분
  4. 혈분

환자가 두통, 천식, 해수, 오한발열, 담다수양성, 사지부종, 무한이라면 진단은? 3
  1. 풍수범폐
  2. 담음온폐
  3. 표한 리담음
  4. 표풍한 리담습

환자가 발열, 복만, 복통, 거안, 불안, 황건태 맥침실 이라면 진단은? 2
  1. 소양
  2. 양명
  3. 태음
  4. 궐음

표, 리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3
  1. 발한, 두통
  2. 발열, 해수
  3. 오한, 비연
  4. 신통, 인후종통

표증의 외감 중 풍한과 풍열의 차이점은? 3
  1. 풍한에는 구갈이 있다.
  2. 풍한에는 소변이 밝은 노랑이다.
  3. 풍한에는 몸살이 있다. 
  4. 풍한에는 박태가 있다. 

가래는 별로 없고 기침을 하는 환자가 내원, 환자는 입이 마르고 가슴부위에 열감을 느낀다고 하며 오후엔 열이 난다고 한다. 가끔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온다면 진단은? 1
  1. 폐음허
  2. 풍열범폐
  3. 조사범폐
  4. 폐열옹성

천식환자가 비교적  큰 소리의 천식이 있는데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 더 쉽다면 가능한 진단은? 3
  1. 신불납기
  2. 폐신기허
  3. 담열옹폐
  4. 폐음허

환가가 손발이 차며 배가 아프며 설사를 한다고 한다. 항상 식사 후에 속이 좋지 않다고 한다면 육경변증 중 어느 단계인가? 2
  1. 소양병
  2. 태음병
  3. 소음병
  4. 궐음병

육경의 단게 중 한과 열이 다 있는 단계가 아닌 것은? 3
  1. 태양경증
  2. 소양경증
  3. 소음열화증
  4. 궐음증

측두통, 구고, 소변단적, 이노, 현훈, 기분의 병화가 심하다면 진단은? 2
  1. 간기울결
  2. 간화상염
  3. 담경에 풍열
  4. 간담습열

알콜 중독 환자가 얼굴이 화가 난 듯하고 얼굴과 눈동자가 붉으며 혼자 알아듣지 못하는 말을 중얼거린다면 진단은? 3
  1. 간기울결
  2. 간화상염 간풍
  3. 담화요심
  4. 심음허 간화상염

구취, 초조감, 잇몸에 출혈, 불면, 상복통 시 설은? 1
  1. 설홍 태황활
  2. 설담홍 대박황
  3. 설홍 태황니
  4. 설담홍 무태, 경면설

여자환자가 고혈압 치료를 원한다. 수축기 혈압이 150-200 이며 이완기 혈압은 95 정도이다. 주요 증상은 목에 경직감이 있고 머리에 압박감, 고동치는 듯한 정수리의 두통, 현기증, 이명, 시력이 침침하고 눈이 건조하며 자주 깨는 불면, 저녁에 열감, 관홍, 눈에 충기가 없으며 흐릿하다, 설은 홍한데 설변은 더욱 홍하며 약간 뻣뻣하며 태는 매우 박하다. 맥은 현세하다. 진단은? 3
  1. 간혈허
  2. 간신음허
  3. 간양상항
  4. 간화상염

환자가 오한과 발열이 있으며 갈증, 두통, 입에서 냄새가 나며 찬물을 많이 먹는다면 위기영혈 변증 중 어디에 속하나? 4
  1. 위분의 풍한
  2. 위분의 풍열
  3. 기분의 풍한
  4. 기분의 풍열

도한, 불면, 불안이 있던 사람이 엄마가 돌아가신 후에 호흡기단이 생겼다면 그 치법이 맞는 것은? 3
  1. 폐기를 보하고 폐음을 도운다.
  2. 신음을 보하고 비음을 도운다.
  3. 폐기를 보하고 심음을 도운다.
  4. 신음을 보하고 심을을 도운다.

환자에게 과일향의 냄새가 난다면 어느장부의 이상인가? 3

설이 백색이며, 윤태이며 맥이 침현이라면 가능한 진단은? 2
  1. 간혈어
  2. 한체간맥
  3. 담기호결
  4. 간담풍열

불면의 환자가 밤 늦게 음식을 많이 먹고 속이 더부륵하여 신트림이 자꾸 넘어온다면 불면의 원인은? 2
  1. 비기허
  2. 위기불화
  3. 간울화화
  4. 위음허

한열왕래, 구고, 목현, 인건, 식욕부진, 심번, 맥현시 설태는? 4

  1. 박황태
  2. 황니태
  3. 백니태
  4. 박백태